발목 통기부스 후 발 저림 원인과 치료는?
1년 전에 발목 통기부스를 한적이 있었는데 그 뒤로 발이 저렇네요.. 무슨 질환이고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요?
1년 전에 발목 통기부스를 한적이 있었는데 그 뒤로 발이 저렇네요.. 무슨 질환이고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발목 통깁스 후 발의 피부 증상으로 많이 걱정되시겠어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사진을 보았을 때, 발의 피부가 하얗게 일어나고 벗겨지며, 벗겨진 후 붉게 변하는 것으로 확인되어요.
이럴 때에는 통기부스 재질에 장기간 노출되면서 피부가 자극을 받아 접촉성 피부염이 생겼을 수 있어요.
특히 땀, 습기, 마찰 등이 있었던 경우 압박성 피부염으로 피부 장벽이 손상되어 각질 탈락이나 붉은 염증이 반복되어 만성 접촉성 피부염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요.
혹은 피부가 하얗게 일어나고 벗겨지는 것을 보아 무좀을 의심해 볼 수도 있어요.
그리고 발 저림의 증상은 깁스 착용으로 혈류가 일시적으로 저하되었거나 미세 혈관 기능이 약해져 발가락 끝이나 발바닥에 저림과 피부 건조가 발생할 수 있어요.
또는 외상 또는 부스 사용 중 경미한 신경 압박이나 손상이 있었을 경우, 회복 후에도 저림 증상이나 감각 변화가 남을 수도 있어요.
이럴 때에는 피부 재생과 보호를 위해 발의 보습을 하루 2회 이상 철저히 해 주세요.
통풍이 잘 되는 신발을 착용하고 땀 차지 않도록 해 주세요.
만약 벗겨진 부위가 붉게 염증처럼 보이거나 따가울 경우에는 약한 스테로이드 연고를 3~5일간 사용해 볼 수도 있어요.
저림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족욕이나 가벼운 발 스트레칭과 신경 영양제인 비타민 B군 복합제 섭취가 도움이 될 수 있어요.
하지만 그럼에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피부과를 방문하여 무좀이 아닌지 확인해 보시고, 정형외과나 신경과를 방문하여 신경전도검사를 고려해 보시는 것을 권해요.
피부 증상이 점점 넓어지거나 저림이 심해진다면 정확한 원인 파악과 치료를 진행해 보실 것을 권해드려요.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땀나는 여름철 증가하는 접촉성 피부염, 종류, 증상, 치료, 원인까지 꼼꼼히 정리해 왔어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발목에 통기부스를 하는데 놀이공원을 가야해서요. 타병원에서 제거가 가능한가요?
발목 움직이다 뼈소리 난 후 발이 좀 저려요 왜그래요?ㄷㄷ
발등에 물혹이 생겨서 주사 치료를 하고 있는 와중에 복숭아뼈 옆부분 통증이 생겨서 병원에 물어보니 검사를 하지 않고 염증때문인거 같다고 해서 충격파 치료를 받아서 괜찮아져서 다시 물혹 주사 치료를 시작했었는데 다음날 아침마다 발목 뒷부분이 걸을때마다 통증이 있다가 시간이 좀 지나면 괜찮아지는걸 일주일정도 반복하면서 추가적으로 발목 앞부분까지 욱씬거리는 통증이 생겼는데 무슨 문제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