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입원 중 설사로 피검사 시 이상 없음, 대장상태 확인 가능한 검사는 무엇인가요?
대학병원입원시 항생제 주사치료받을당시 설사가있어서 검사를 했는데 이상이 없다고 나왔어요 대변검사로 한게아니고 피검사할때 같이 하신거 같은데 어떤검사를 했기에 이상없다고 나온걸까요?피검사로도 대장상태를 알수있나요?방라스검사일까요?
대학병원입원시 항생제 주사치료받을당시 설사가있어서 검사를 했는데 이상이 없다고 나왔어요 대변검사로 한게아니고 피검사할때 같이 하신거 같은데 어떤검사를 했기에 이상없다고 나온걸까요?피검사로도 대장상태를 알수있나요?방라스검사일까요?
피검사만으로 대장의 상태를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피검사는 주로 염증 수치(CRP), 백혈구 수치 등을 측정하여 염증이나 감염의 유무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대장의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확인하고자 할 때는 대변검사, 대장내시경, CT 스캔 등의 다양한 검사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대변검사를 통해서는 감염 여부나 기생충, 세균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대장내시경은 대장 점막을 직접 관찰하여 염증, 종양, 궤양 등을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CT나 MRI 검사는 대장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대장암의 '확진'을 위해서는 대장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가 필요합니다. 설사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은 검사를 받으신 병원의 전문의와 상의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022년 6월 건강검진시 뇨담백 정상 2022년 8월 비뇨기과 소변검사 방광염 정상 (염증미발결) 2022년 8월 대학병원 장염으로 입원 피검사 , 엑스레이 , Ct 검사 그럼 지금 6월검진때 단백뇨 없었고 8월 비뇨기 검새때도 소변검사 단백뇨 얘기 없었고 8월 대학병원 입원시 피검사 등 했을텐데 별도 단백뇨 언급 없었고 지금 일상에서는 아침에 소변상 거품이 좀나오고 그 이후나 저녁에는 거품뇨를 안보고 있습니다 피검사상 신장 수치는 정상범위 입입니다 지금 상태에서 단백뇨가 있을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대학병원에서 청색모반 제거 수술을 받았었는데요... 갑자기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 올립니다. 대학병원 수술 전 피검사로 확인하는 항목이 무엇인가요? 이상이 없는지 아무 설명도 못 들어서 전혀 모르겠고 궁금합니다..!! 감염병 여부도 확인하나요? 상식적으로 전염 예방을 위해서는 그게 맞을 것 같은데 어떤 병을 확인하는지 궁금합니다. (특히 에이즈 같은 것은 잠복기에 검사 시 안 나올 가능성도 있는지) 그리고 만약 감염병에 걸린 사람이라면 어떻게 되나요? 수술을 안 할 수는 없잖아요..?
복부 CT로도 대장암 유무 파악이 가능한가요? 저번에 장꼬임같은 복통때문에 병원방문했다가 배 눌러보시더니 복부 CT 찍어보자고 하셔서 피검사, 소변검사하고 조영제 투입해서 복부 CT 찍었습니다. 피검사랑 소변검사로 다른 췌장암이나 간암 등 이상없다고 하셨고 CT결과도 아무런 이상없다고 하셨어서 위염약 처방해주셨었는데 어제 문의했을때에는 과민성대장증후군같다고 하셨는데 혹시 대장암 유무도 복부 CT로도 확인되나요? 아니면 내시경으로만 결과를 알 수 있나요? 복부 CT에서 이상없다고 하셨는데 대장에도 이상이 없는건지 궁금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