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로 인한 임파선염의 증상 중 압통이 없는가요?
이OO • 2024.10.16
에이즈로 인한 임파선염은 압통이 없나요?
성병
에이즈로 인한 임파선염은 압통이 없나요?
HIV에 감염된 후 3~6주 정도가 지나면 임파선 비대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때 임파선이 부어오르지만 압통이 없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그러나 증상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어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IV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하며, 의심되는 성관계 후 4주 경에 항체검사를 받아보고, 음성이라면 6주 경에 항원항체검사로 재검사 하거나 12주 경에 항체검사를 다시 시행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반복적인 질문 죄송합니다 압통이 있는 임파선염이 생겨 병원에 갔더니 구내염 때문일 거란 말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hiv 감염일까봐 너무 걱정됩니다.. 저번달에 콘돔 없이 항문성교를 했거든요 그리고 구내염이 생긴 시기랑 임파선염이 생긴 시기랑 거의 겹쳐서.. 원래 구내염이랑 임파선염이랑 거의 동시에 나타나나요? 그리고 압통이 있으면 hiv 감염으로 인한 임파선염이 아닐 수 있나요?
반복적인 질문 정말 죄송합니다.. 방금 압통이 있는 임파선염은 hiv 감염 때문이 아닐 수도 있다는 답변을 받았는데요 그럼 구내염+압통이 있는 임파선염 이외에 hiv 초기 증상이 아예 없으면 정말 그냥 구내염 때문에 생긴 임파선염일 확률이 높을까요?
감기로 인한 임파선염이 나으려면 얼마나 걸리나요? 감기는 다 나아가는데 임파선염은 전보다 압통은 덜하지만 멍울이 사라지질 않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