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 중 갈색혈흔 발생 후 질외사정으로 임신 가능성은?
30대후반 기혼여성 아이셋입니다. 월경이 열흘정도 남아있는 상태에서 냉에 섞인 갈색혈흔을 보았습니다. 일주일에 1번정도의 관계를 가지고 있고 질외사정으로 하는데 임신가능성이 있을까요?
30대후반 기혼여성 아이셋입니다. 월경이 열흘정도 남아있는 상태에서 냉에 섞인 갈색혈흔을 보았습니다. 일주일에 1번정도의 관계를 가지고 있고 질외사정으로 하는데 임신가능성이 있을까요?
월경 중 갈색 혈흔은 때때로 정상적인 월경 현상 중 하나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이전 월경주기의 잔여물이나 자궁 내막이 갱신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갈색 혈흔이 나타나는 다른 원인으로는 호르몬 변화, 자궁 내막증, 감염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만약 평소와 다른 패턴이거나 걱정되는 증상이 있다면 산부인과에 가셔야 해요. 질외사정은 안전한 피임법이라고 할 수 없으며 피임도구 없이 성관계를 한다면 임신가능성이 없다고 말씀드리기 어려워요. 사정이 질 밖에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사정 전에 나오는 전정액에도 소량의 정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임신을 일으킬 수 있는 충분한 양일 수 있습니다. 또한, 사정 시기를 정확히 조절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월경이 열흘 정도 남은 상태라면, 일반적으로 배란이 일어나기 전이거나 배란기에 접어들 수 있는 시기일 수 있습니다. 배란기에 성관계를 가질 경우 임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개인의 월경주기나 배란 시기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배란일을 알기 어렵습니다. 결론적으로, 질외사정을 사용하더라도 임신의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 임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 더 안정적인 피임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경구 피임약은 복용을 시작한 후 일주일이 지나면 효과가 나타나므로, 이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구 피임약은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으며, 사용 전에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임신 기간 중에는 월경을 할 수가 없나요? 출산 후에 월경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약 4주 전쯤에 관계 있었고 질외사정 했고 콘돔 착용 했으며 물풍선으로 확인까지 했어요. 14일후에 임테기 비임신 나왔고 저번주에 생리 5일 정도 했는데 매번 하는 생리랑 느낌이 달라서요.. 갈색혈이였고 6-7일 꽉 채우는데 6일차때 조금 나온게 다여서 거의 5일 밖에 안했어요. 예전 생리혈이 맺혔다가 나오면 갈색혈흔이라던데 임신 가능성 없겠죠? 뭔가 찜찜하고 불안하네요
11/25일에 사후피임약을 복용하고 12/6,7일날 부정출형 처럼 갈색 혈흔이 나왔습니다. 임신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