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자님, 상황이 복잡해서 많이 걱정이 되셨을 것 같아요. 사후피임약 복용 후의 출혈과 경구피임약 복용 시의 출혈을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사후피임약을 복용하면 체내에 호르몬이 많이 들어가서 내막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해요. 이로 인해 복용 후 일주일 전후로 출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부정출혈이라고 해요. 이 부정출혈은 대부분 소량으로 나타나거나 아예 없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출혈의 양만으로는 부정출혈과 생리를 구분하기가 어려워요.
질문자님이 사후피임약 복용 후 일주일 뒤에 생리를 하셨다고 했는데, 통증이나 혈양이 평소와 같았다면, 이는 부정출혈일 가능성이 높아요. 하지만 이는 확실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이에요.
이번 달부터 경구피임약을 복용하셨다고 하셨는데, 출혈이 생리인지 부정출혈인지 헷갈리시는 상황이라면, 출혈의 양상을 지켜보시는 것이 좋아요. 만약 생리가 2주 이상 지속될 경우에는 가까운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관계 후 2주가 지난 후에 임신테스트기를 사용하여 비임신으로 나왔다고 하셨는데, 이는 임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해요.
요약하면, 사후피임약 복용 후에 출혈이 있을 경우 이는 대체로 부정출혈일 가능성이 높아요. 출혈의 양만으로는 부정출혈과 생리를 구분하기 어려우니, 경구피임약 복용 시에도 출혈 양상을 지켜보시고, 생리가 2주 이상 지속될 경우에는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아요. 마지막으로, 관계 후 2주가 지난 후에 임신테스트기를 사용하여 비임신으로 나왔다면, 임신 가능성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