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황색 설사와 혈변은 어떻게 구별하나요?
주황색에 가까운 설사할때 혈변인지 아닌지 어떻게 구별하나요?
주황색에 가까운 설사할때 혈변인지 아닌지 어떻게 구별하나요?
AD
주황색 설사와 혈변을 구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혈변의 색상: 혈변은 일반적으로 선홍색, 어두운 빨간색, 또는 검붉은 색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혈액이 소화 과정에서 변형되면 검은색에 가까운 색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흑색변). 주황색 설사는 혈변과는 색상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다만, 음식 섭취에 따라 대변 색상이 붉게 보일 수 있으므로 섭취한 음식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2. 혈변의 형태: 혈변은 대변에 혈액이 섞여 있거나 대변 표면에 혈액이 묻어 있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설사는 대변이 물처럼 묽은 상태로 나오며 혈액이 섞여 있다면 색상 변화가 뚜렷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혈변은 대변의 마지막 부분에 점액질과 함께 붉은 피뭉치가 딸려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주황색 설사의 원인: 주황색 설사는 일반적으로 음식 섭취(예: 베타카로틴이 풍부한 음식), 담즙 분비 이상, 또는 특정 장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혈변은 대장이나 직장 내 출혈, 궤양, 염증성 장 질환 등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기름진 음식이나 맵고 짠 음식을 섭취한 후 대변이 붉게 보이는 경우, 혈변이 아닌 음식 색소의 영향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4. 의심스러운 경우: 혈변인지 아닌지 확실하지 않다면, 대변의 색상과 상태를 사진으로 기록하거나 메모한 뒤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혈변이 의심되거나 설사가 지속된다면 즉시 의료진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홍빛 혈액이 다량으로 보이거나 지속적인 복통, 설사, 속 불편감이 동반된다면 내과 또는 소화기내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주황색 설사가 혈변인지 아닌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전문적인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혈변은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하고 필요 시 병원을 방문하세요. 특히 증상이 반복되거나 출혈 양이 많아진다면 항문외과 또는 대장항문외과 진료를 권장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주황색변인지 빨간색변인지 애매할때 혈변인지 구별할때 냄새랑 화장지로 구별하는거 가능한가요?
변에 고추가루가 섞여나오기도 하나요? 혈변이라하기엔 고추가루 모양이고 빨강보단 주황색느낌에 가까워요
혈변을 볼 시에 치질이 아니여도 화장지로 닦으면 피가 묻어서 나오지 않아요? 그리고 화장지로 닦을때 주황색변은 주황색이고, 노란변은 노란색이 맞나요? 그리고 혈변을 볼 시에 피냄새도 나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