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와직염 진단 후 피부색 변화가 괴사 징후인가요?
비에 젖은 양말을 9시간 신고 빨갛게 붓고 가렵고 간지럽고 화끈거려서 피부과에 갔더니 봉와직염이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런데 피부가 보라색으로 변해서 이게 괴사하는 건가 무서워서 급하게 응급실에 갔더니 괴사는 아니고.. 알러지 아닐까 하시더라고요.. 근데 계속 어두워지는 거 같고 불안해서 너무 신경쓰입니다.. ㅜㅜ
비에 젖은 양말을 9시간 신고 빨갛게 붓고 가렵고 간지럽고 화끈거려서 피부과에 갔더니 봉와직염이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런데 피부가 보라색으로 변해서 이게 괴사하는 건가 무서워서 급하게 응급실에 갔더니 괴사는 아니고.. 알러지 아닐까 하시더라고요.. 근데 계속 어두워지는 거 같고 불안해서 너무 신경쓰입니다.. ㅜㅜ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발가락에 봉와직염을 진단받은 상태에서 피부가 보라색으로 변해 응급실에 내원했고 괴사는 아니라고 했으나 많이 걱정되시는 상황이시네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감각이나 피부를 잘 관찰해보시다가 이상 변화가 있다면 응급실 재내원하시는 것이 좋을 듯해요.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봉와직염은 피부 및 피하조직에 세균이 감염된 상태를 말하며, 봉와직염에서 보라색의 변색은 피부 밑의 출혈, 멍일 수 있는데요.
걱정하시는 것처럼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기면서 피부 색의 변화가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어요.
다만 괴사가 진행이 된다면 피부가 점점 딱딱해지고 감각이 둔해지면서 수포나 검게 변하는 양상이 생기게 되는데, 현재 사진의 양상 만으로는 괴사로 단정짓기는 어려워 보여요.
다만 알레르기 반응이라면 색 변화보다는 심한 가려움과 발적, 발진이 더 뚜렷할 수 있기 떄문에 만약 현재 색이 계속 더 어두워지고 있는 상태라면 단순 알러지보다는 혈관의 손상, 혈류의 문제, 봉와직염의 악화 가능성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어요.
따라서 해당 부위가 차가워지거나 감각이 떨어지지 않는지, 딱딱해지지 않는지, 색이 점점 더 심하게 검어지지 않는지 잘 관찰해보시다가 이상 변화가 보인다면 즉시 다시 응급실로 내원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괴사까지는 아니더라도 봉와직염이 악화된 상태라면 추가적인 항생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고, 만약 혈류의 장애가 생긴 것이라면 걱정하시는 것처럼 괴사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니 빠른 조치가 필요해요.
많이 불안하고 걱정되실 수 있겠지만, 응급실 내원 시 알러지 반응을 의심했던 것은 색 변화가 있었어도 혈류의 문제는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볼 수 있으니, 괴사에 대해 너무 걱정하지는 마시고 해당 부위에 증상 변화가 없는지 주의깊게 잘 관찰해보시면 좋을 듯해요.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봉와직염은 무좀 환자들이 걸리기 쉬운 질환이에요. 봉와직염의 대표적인 증상에 대해 찬찬히 알아봐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