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과 귀 통증 관련 문의?

정OO • 2025.04.17

생선가시를 삼킨뒤 목이 계속 아프다가 이비인후과를 갔고 감기기운이 있어보인다고 하셨습니다 진짜 감기가 심하게 걸렸었는데 감기는 나았는데 목은 여전히 아파요 증상이 역류성 식도염인거 같아 지금 내과에서 역류성 식도염약을 먹고있습니다 목은 좀 조아지고 있어요 약을 먹을때만 좋아지는 느낌이지만 근데 귀가 계속은 아니지만 따끔따끔하고 가끔 간질간질해요 간지러울땐 면봉에 물을 묻혀서 살짝 닦아주는데 손으로 했을덴 따갑더라구요 식도염 증상있고 이비인후과가서 식도염같다 귀가 먹먹하고 통증온다 했는데 상태가 애매하다면서 귀는 멀쩡하다고 계속 항생제만 줬고 저는 위장이 약해서 먹고 계속 배아팠거든요 그러다 내과를 간거고 목은 좀 조아졌는데 귀가 아직 좀 따끔해요 오른쪽이 그래요 왼똑은 가끔 따끔하고 신물이 넘어올때 좀 따끔함을 느껴요 살짝 먹먹함도 아직 있고요 초반에 며칠 먹먹하다가 어 좋아졌네 하고 라면 먹자마자 바로 먹먹해지고 악화된후로 계속 먹먹하고 귀 아프다가 지금 먹먹함은 좀 조아졌어요

소화기질환
error
실시간 의료상담의 모든 게시물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아요. 저작권자의 명시적 동의 없이 게시물을 복제, 배포, 전송 등 활용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로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빠르게 낫고 싶다면?

집에서 5분 만에진료받을 수 있어요!
banner_phone

소화기질환 관련 1개의 답변

  • 닥터나우 의료진
    닥터나우
    2025.04.17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실시간 의료 상담 의료진입니다. 생선가시를 삼킨 이후 목이 아프기 시작했고, 이비인후과에서는 감기 기운이 있다고 했지만 감기가 나은 뒤에도 목 통증이 계속되고 있어 불편하고 걱정이 되시는 상황인 것 같아요. 또한, 귀 부위에 통증이 동반되고 있어 불편하신 상황인 것 같아요. 내과에서 역류성 식도염 진단을 받고 약을 복용 중이며, 약을 먹을 때만 목이 좀 좋아지는 느낌이라고 하셨어요. 생선가시를 삼키면 목에 이물감, 따끔거림, 삼킬 때 아픔, 기침, 목의 이물감, 피가 나는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 가시가 실제로 박히지 않고 지나가더라도, 점막에 상처가 남아 며칠간 통증이나 이물감이 남을 수 있어요. 보통은 2~3일 내에 자연 치유되지만, 감염이 생기면 통증이 오래가거나 악화될 수 있어요. 목과 귀는 신경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인두(목구멍)나 식도에 염증이 생기면 귀에도 통증(이관 반사통)이 올 수 있어요. 역류성 식도염이 있을 때 위산이 식도와 인두까지 역류하면, 인두 점막이 자극을 받아 목통증과 함께 귀의 따끔거림, 먹먹함, 간질거림이 동반될 수 있어요. 신물이 넘어올 때 귀가 더 따끔하거나 먹먹해지는 것도 이런 신경 연결 때문일 수 있어요. 귀가 간질거린다고 면봉이나 손으로 자주 닦으면 외이도 피부가 자극받아 오히려 더 따갑거나 상처가 생길 수 있어요. 귀가 먹먹하거나 따끔거린다고 해서 귀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드물고, 이비인후과 진찰에서 이상이 없었다면 주로 인두·식도 쪽 자극에 의한 반사통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어요. 생선가시가 실제로 남아 있다면, 이비인후과 내시경 검사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대부분은 이미 빠져나가거나 녹아 없어져요. 가시가 지나가면서 남긴 상처, 또는 역류성 식도염에 의한 인두 자극이 목과 귀 증상의 주요 원인일 수 있어요. 항생제 복용 후에도 증상이 남아 있다면, 감염보다는 자극성 염증(위산 역류 등)이나 점막 치유 과정에 의한 통증일 수 있어요. 귀의 간질거림, 따끔거림은 신경 반사통이거나, 면봉 등으로 자극된 외이도 피부의 경미한 손상 때문일 수 있어요. 역류성 식도염 치료를 꾸준히 이어가시는 게 좋아요. 증상 호전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어요. 자극적인 음식(라면, 튀김, 맵고 짠 음식, 탄산음료 등)은 피하고, 식사 후 바로 눕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또한, 귀는 면봉이나 손으로 자주 만지지 않는 것이 좋고, 간질거림이 심하면 이비인후과에서 외이도 상태를 확인받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만약 2주 이상 목이나 귀 통증이 지속되거나, 삼키기 힘들거나, 출혈, 고열, 심한 귀통증이 동반될 경우 추가적인 검사와 진료를 통해 상태를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결론적으로 현재 증상은 생선가시로 인한 점막 손상과 역류성 식도염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여요. 또한, 귀의 따끔거림과 먹먹함은 주로 인두 자극에 의한 반사통일 가능성이 높으며, 귀 자체의 질환 가능성은 낮아 보여요. 우선 역류성 식도염 치료를 계속하면서, 자극적인 음식과 귀 자극을 피하고, 증상이 악화되거나 오래 지속될 경우 추가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선생님이 추천한 콘텐츠예요

    [1분 FAQ] 역류성 식도염 치료법과 생활 습관은?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심할 때, 치료법과 생활 습관은?

    • '실시간 의료상담' 에서의 답변은 의료진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참고용 정보 제공입니다. 정확한 개인 증상 파악 및 진단은 의료기관 내방을 통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star
    star
    star
    star
    star

    4.0

    2025.04.17

    감사합니다!

    • 공감을 잘해줬어요
    • +2
내게 딱 맞는 정보가 없다면?
닥터나우에서 진료부터약 처방까지 받아보세요
app_home_screen
1,839명이 답변을 보고, 진료 받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