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V추적 검사 주기에 따른 바이러스 검출 여부
HPV추적 검사를 3개월6개월 하면 바이러스가 만일 있다면 나오고 안나오고 그러나요?
HPV추적 검사를 3개월6개월 하면 바이러스가 만일 있다면 나오고 안나오고 그러나요?
HPV 추적 검사는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감염이 확인된 경우 바이러스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HPV 검사의 주기는 개인의 상태와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HPV 감염이 확인된 경우, 의사는 6개월에서 1년에 한 번씩 추적 검사를 권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는 더 자주 검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상 세포가 발견되었거나 고위험 유형의 HPV 감염이 확인된 경우, 의사는 3개월마다 추적 검사를 권장할 수 있습니다. HPV는 때때로 자연적으로 몸에서 제거되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감염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개월이나 6개월마다 검사를 받는다고 해서 반드시 바이러스가 검출되거나 검출되지 않는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검사 결과는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 감염 유형, 그리고 면역 체계의 반응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추적 검사 주기와 관리 계획은 개인의 의료 상태와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바이러스가 발견되었다면 2년 정도는 6개월에 한 번씩 정기 검진으로 관찰을 할 것을 권장하고 있어요.
꼭 확인해주세요.
1. HPV 바이러스 검사를 하더라도 바이러스가 비활성 상태이면 음성으로 뜨는 건가요? 2. 고위험군 바이러스라도 1년이 지나면 자연소멸하게 되는건가요? 아니면 따로 약을 복용해야하는건가요? 면역관리가 중요하다는데 면역 관리만 하면 되는건가요? 3. 자궁경부암 검사 이상소견 없으면 HPV 바이러스 검사는 하지 않아도 되는건가요? 4. 비검출 시 자궁경부암 검사 권장 주기는 어떻게 되나요? 바이러스 검출 시 검사 권장주기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국가 자궁암검사에서 "반응성세포변화" 결과가 나와서 확대경+HPV 바이러스+균 검사를 했습니다. 확대경 결과는 제 눈에도 흰 병변이 넓게 보였고, HPV 바이러스 및 균은 하나도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조직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중인데 백색병변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HPV 바이러스는 면역력에 따라 검출되기도, 안되기도 한다고 말고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HPV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다면, 자궁경부염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해 꽤 넓은 면적의 백색병변이 생길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즉, 백색병변의 원인이 HPV 바이러스 외에도 존재하는지, 확률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HPV 바이러스에 노출될 일이 없는데... 의심을 하기 전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아까 질문을 올렸을 때 아래와 같이 답변을 받았어요. 제가 2017년도 hpv예방 주사를 받았고 일년 주기로 hpv검사를 받았을 때 바이러스 검출이 된 적이 없는데 항문곤지름 진단을 받았고든요. 또한, 질쪽으로 HPV 검사를 할 때 항문쪽 곤지름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질과 항문은 다른 부위이며, 각각의 부위에서 별도의 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HPV 검사는 주로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되는 HPV 유형을 찾기 위해 질 부위에서 시행되며, 항문 부위의 HPV 감염 여부는 별도의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궁금한 점이 체내에 그럼 hpv바이러스가 있더라도 질로 검사할 때는 검출이 안될 수 있다는 거죠..? 그리고 왜 질로 성관계를 맺었는데 왜 항문에 곤지름이 생긴 걸까요? 그건 알 수 없는거죠…? 그리고 항문외과 선생님께서 항문에 곤지름 있는 경우 질에는 곤지름 안 생긴다고 성관계 맺어도 크게 상관 없자고 하셨는데 인터넷 찾아보면 아닌 것 같아서요… 맞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