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피임약 복용 후 생리 없어 자궁내막 두껍고 피 고여있음, 생리전증후군인가?
1월 22일에 사후피임약 먹고 2주뒤 생리 하고 여태 생리가 없어 3월 28일에 병원에 갓는데 자궁내막은 두껍고 피가 고여있다고 햇습니다 1.2주정도 기다리고 생리 없으면 주사 맞으라고 했는데 1주후 어제부터 갈색혈?이 살짝씩 나오는데 생리전증후군일까요? 이걸 생리로 봐도 될까요? 좀더 지켜보다가 병원을 가야할까요?
1월 22일에 사후피임약 먹고 2주뒤 생리 하고 여태 생리가 없어 3월 28일에 병원에 갓는데 자궁내막은 두껍고 피가 고여있다고 햇습니다 1.2주정도 기다리고 생리 없으면 주사 맞으라고 했는데 1주후 어제부터 갈색혈?이 살짝씩 나오는데 생리전증후군일까요? 이걸 생리로 봐도 될까요? 좀더 지켜보다가 병원을 가야할까요?
사후피임약 복용 후 생리 주기가 변동되는 것은 흔한 부작용 중 하나로, 사후피임약은 호르몬 수치에 영향을 주어 생리 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1월 22일에 사후피임약을 복용하신 후 2주 뒤에 생리를 하셨고, 그 이후로 생리가 없었다면, 이는 사후피임약의 영향일 수 있습니다. 3월 28일 병원 방문 시 자궁내막이 두껍고 피가 고여 있다고 하셨는데, 이는 생리가 임박했을 수도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의사 선생님이 1-2주 정도 기다려보고 생리가 없으면 주사를 맞으라고 하셨으니, 그 지시에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어제부터 나오기 시작한 갈색 혈은 생리 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이전에 고여 있던 피가 배출되는 과정일 수 있습니다. 이를 생리로 볼 수도 있지만, 분비물의 양이나 지속 기간, 그리고 다른 증상들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생리전증후군(PMS)의 경우, 생리가 시작되기 전에 나타나는 다양한 신체적, 정서적 증상을 말합니다. 갈색 혈이 나오는 것만으로는 PMS를 확정하기 어렵습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의사 선생님의 지시에 따라 1-2주 정도 더 지켜보시고, 그 이후에도 생리가 시작되지 않거나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병원에 다시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갈색 혈이 나오는 양이 많아지거나, 통증이 심해지거나, 다른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한다면 그 전에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호르몬양성 유방암환자인데요 1년가까이 아로마신정약에 루프린주사로 항호르몬치료를 하고있습니다 그런데 생리전증후군 증상들이 많이 나타나 산부인과가니 자궁내막이 두꺼워지고 난소에 물혹이 보인대요 그러다 부정출혈까지 보여서 자궁소파술로 자궁내막 조직검사를 했습니다 결과는 아무 이상 없다는 결과를 받았습니다 그럼 제 자궁내막이 두꺼워지고 생리전증후군 증상들이 나타나는건 이유가 뭘까요? 루프린주사의 효과가 없는건가요? 에스트로겐이 잘 차단되고 있는지 확인해봐야할까요?
제가 생리전증후군 증상인 생리통(아랫배 통증), 가슴이 붑고 누르면 통증,배에 가스차는 복부팽창, 여드름(뾰루지) 피부트러블 발생, 매운음식이 땡김 등등이 있는데 생리 지연이 13일 되었습니다. 질 초음파 결과 자궁내막이 두껍다고 하셨는데 곧 생리한다는 것이죠?? 임신여부는 콘돔으로 피임을 하고 파손이나 벗겨짐은 없었습니다
질 초음파를 시행하였는데 자궁내막이 두껍고 복부쪽으로 피가 고여있다고 하였습니다. 자궁 위쪽으로 피가 고여있는 이유는 무엇이고, 자궁내막증일 가능성이 있나요? 자궁내막증일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