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성관계 없이 성병균이 검출될 수 있나요?
2월 이후로 성관계 없었는데 성병 관련 된 세균이 나왔어요
2월 이후로 성관계 없었는데 성병 관련 된 세균이 나왔어요
AD
네, 최근 성관계가 없었더라도 성병균이 검출될 수 있는 몇 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잠복 감염: 일부 성병은 체내에 장기간 잠복할 수 있습니다. 특히 헤르페스나 HIV와 같은 바이러스성 감염은 오랜 기간 증상 없이 체내에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전 감염의 지속: 2월 이전에 감염되었으나 증상이 없거나 미미하여 인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부 세균성 성병은 치료 없이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소멸되기도 하지만, 일부는 지속될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의 오류: 드물게 검사 과정에서 오염이나 다른 요인으로 인한 위양성 결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비성적 전파: 일부 성병균은 드물게 비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담당 의사와 상담하시고, 필요하다면 재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어떤 종류의 성병균이 검출되었는지에 따라 감염 경로와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정보를 의사와 공유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여성의 경우엔 질 속에 살고 있는 상재균이 몇 종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중 몇가지는 STD 12종의 검사에서도 검출 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만약 성관계 경험이 없는 여성에게 이 상재균이 있다면, 이 여성과 성관계를 맺었을 때 남성에게도 이 성병균이 옮아 추후 남성이 STD 12종 검사를 했을 때 양성결과가 나올 수도 있나요? 이런 상재균이 남성에게 옮는다면 어떤 악영향이 있나요? 콘돔을 착용하고 성관계를 한다면 이런 각종 여성의 상재균으로부터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을까요?
성기끝이 간질간질하고 통증이 있으며 고환이 화끈거려 STD PCR검사 및 혈액검사결과 다른 성병균은 검출되지 않았고 정액검사에서 코리네박테리움이 검출 되었습니다. 이것으로 진단할 수 있는 병명은 무엇인가요?
1. 면역력이 높으면 성병균 검출이 잘 안 될수도 있나요? 최근에 유레아플라즈마 파붐 / 가드넬라균 을 옮아서 두개가 양성이 나왔습니다. 증상이 심각하지 않은데 균이 검출되었고 검사를 하지 않았다면 모른체로 살아갈 수도 있었습니다. 궁금한점은, 남성의 면역력이 높으면 세균이 검출되지 않을 수도 있나요? 2. 유레아플라즈마 파붐 / 가드넬라 치료 남성은 꼭 해야하나요? 두개는 여성의 질속에 상재하는 균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렇다면 언제든지 남자나 여자에게서 검출될 수 있다는건데, 이걸 굳이 치료해야하나요? 부부라는 가정하에요. 어짜피 치료해도 또 서로 발생하는거 아닌가요? 발생할때마다 항생제를 먹는건 좀 미련한것 같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