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중에 입을 벌리고 호흡하는 문제로 인한 턱관절 통증을 겪고 계시는군요. 이를 악물고 자는 습관이 생겨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구강내과에서는 여러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구강내과에서는 턱관절 장애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자세한 진단을 시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X-ray나 MRI 등의 영상 검사를 통해 턱관절의 구조적 문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합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구강 내 장치: 수면 중에 입을 다물고 호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강 내 장치를 제작하여 이를 악물거나 턱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물리치료: 턱관절의 통증과 뻐근함을 완화하기 위해 물리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사는 턱관절의 움직임을 개선하고 통증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운동과 마사지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약물 치료: 통증과 염증을 줄이기 위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나 근육 이완제를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
행동 요법: 스트레스 관리 기법이나 이완 기법을 포함한 행동 요법을 통해 이를 악무는 습관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보톡스 주사: 이미 시행하셨지만,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보톡스 주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는 턱 근육의 긴장을 줄여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교합 조정: 치아의 교합 상태가 턱관절 문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교합 조정을 통해 치아의 맞물림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평소 한쪽으로 음식을 씹는 습관이나 스트레스성으로 이를 꽉 무는 습관, 이갈이 등을 피하고, 구강악안면외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약물이나 물리치료, 행동요법 등도 진행되니 꼭 상담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가까운 치과병원에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