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피임약이 배란일정에 영향을 주나요?
사후피임약을 먹고 2~3개월 정도 지났는데요 사후 피임약이 배란일정에 영향을 주나요? 지난달은 10일가량 생리가 빨리 시작했고 이번달은 생리예정일에 갈색냉이 2~3일 보이다가 멈추고 생리가 안터지네요 피임은 정말 확실하게 했는데 너무 걱정이 됩니다
사후피임약을 먹고 2~3개월 정도 지났는데요 사후 피임약이 배란일정에 영향을 주나요? 지난달은 10일가량 생리가 빨리 시작했고 이번달은 생리예정일에 갈색냉이 2~3일 보이다가 멈추고 생리가 안터지네요 피임은 정말 확실하게 했는데 너무 걱정이 됩니다
사후피임약은 일반 경구피임약에 비해 약 10배 가량 높은 호르몬 함량을 가지고 있어, 체내 호르몬 농도를 인위적으로 갑자기 폭발적으로 증가시켜 착상을 방해하는 원리예요. 따라서 복용 후 부정출혈, 월경주기 변동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의약정보센터 KIMS에 의하면 사후피임약을 복용한 사람 중 6.8%는 월경 예정일에서 7일 이전에 월경이 나타났으며, 18.5%는 월경 예정일에서 7일 이후에 월경이 나타났고, 20일 이상 월경이 지연된 경우는 4% 였다고 해요. 또 대부분의 여성(88.2%)에서는 점상출혈이 나타났다는 내용도 명시되어 있어요. 그러나 사후피임약이 배란 일정에 장기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며, 대부분의 경우 몇 개월 내에 생리주기는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스트레스, 체중 변화, 호르몬 변화, 질환 등 다른 요인들도 생리주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갈색 분비물이 나오다가 멈추고 생리가 시작되지 않는 경우, 임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임신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피임을 확실히 했다고 하더라도, 모든 피임 방법은 100%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임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생리 불규칙이 지속되거나 건강에 대한 걱정이 있다면,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의는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검사를 권장할 수 있으며, 개인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안내해 줄 것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