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D12종중 상재균의 종류와 감염경로 자세히 알려주세요
STD12종중에 상재균의 종류 및 감염경로 자세히 알려주세요. 태어났을때부터 보균하고 있진 않지만 자연스럽게 외부에 있는 상재균이 우리 몸안으로 감염되는 경로요.
STD12종중에 상재균의 종류 및 감염경로 자세히 알려주세요. 태어났을때부터 보균하고 있진 않지만 자연스럽게 외부에 있는 상재균이 우리 몸안으로 감염되는 경로요.
상재균은 우리 몸의 피부, 구강, 장, 생식기 등 다양한 부위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로, 일반적으로 우리 몸에 해를 끼치지 않으며, 오히려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성병 12종 검사에서 상재균으로 간주되는 것은 없으나, 유레아플라즈마 유레아리티쿰과 같은 균은 성병으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성관계 없이도 존재할 수 있는 상재균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상재균이 우리 몸 안으로 들어오는 경로는 다양합니다. 피부 접촉을 통해 다른 사람과의 접촉으로 전파될 수 있으며,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생물이 호흡을 통해 체내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또한, 음식물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소화 과정을 통해 장내로 들어오기도 하며, 성 접촉을 통해 생식기 부위의 상재균이 전파될 수도 있습니다. 유레아플라즈마는 성접촉, 산모수직감염, 장기이식, 다중이용시설 이용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재균은 건강한 면역 체계에 의해 잘 조절되지만, 면역력이 약해지거나 상재균의 균형이 깨질 경우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상재균이 감염을 일으킨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으며, 가까운 산부인과 등에서 검사 후 치료 방안에 대해 상담하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여성의 경우엔 질 속에 살고 있는 상재균이 몇 종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중 몇가지는 STD 12종의 검사에서도 검출 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만약 성관계 경험이 없는 여성에게 이 상재균이 있다면, 이 여성과 성관계를 맺었을 때 남성에게도 이 성병균이 옮아 추후 남성이 STD 12종 검사를 했을 때 양성결과가 나올 수도 있나요? 이런 상재균이 남성에게 옮는다면 어떤 악영향이 있나요? 콘돔을 착용하고 성관계를 한다면 이런 각종 여성의 상재균으로부터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을까요?
std 성병균은 외부에서 생존 힘들고 생존했다해도 체내로 감염되기 어렵다고 알고있습니다. 상재균은 외부에서 생존 가능하고 그렇다면 체내로 감염되기 어려운건 성변균이랑 똑같은거 아닌가요? 성병균은 생존해있어도 감염 어렵지만 상재균은 자연스럽게 감염되는 차이가 궁금합니다
STD중 상재균은 외부에서 비교적 생존 가능하다고 알고있습니다. 외부에 있는 상재균이 자연스럽게 체내로 들어가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