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병 혈액검사 7주 후 신뢰도는 어떤가요?
혈액 성병 검사가 12주 미만때 받는 검사는 의미가 없나요? 한 7주 정도 지나고 받았는데 결과가 무의미 한건지 궁굼합니다. 또한 결과가 무의미 하다면 왜 4주 지나고 받으라 하는건지도 궁굼하구요
혈액 성병 검사가 12주 미만때 받는 검사는 의미가 없나요? 한 7주 정도 지나고 받았는데 결과가 무의미 한건지 궁굼합니다. 또한 결과가 무의미 하다면 왜 4주 지나고 받으라 하는건지도 궁굼하구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7주 후에 받은 성병 검사의 정확도와 왜 4주 후에 검사를 권유하는 지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7주 후에 받은 검사의 결과는 완벽하게 정확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의 신뢰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성병 혈액 검사는 성병을 일으키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찾는 검사로, 예를 들어 HIV, 매독, B형 간염 등 성병에 의한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요. 이 검사는 보통 혈액에서 특정 병원체를 직접 찾아내는 방식입니다. 성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균의 경우에는 각각 감염 후 4-12주 정도의 항체 형성을 하는 시간을 거칩니다. 따라서, 성병마다 각각 항체를 형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다 다르므로 7주 후에 진행한 검사에서 나오지 않았더라도, 감염의 위험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성병 검사의 경우 최소 4주 이후에 받으라고 하는 거지요. 또한, 예를 들어, 트리코모나스나 칸디다 같은 경우는 성관계 다음 날부터 즉시 감염 여부를 알 수 있지만, 클라미디아나 임질은 2~3일 후, 헤르페스는 2~10일 후, 매독은 4주가량 후, 콘딜로마는 3주~8개월 후가 적합한 검사 시기인 것처럼 검사를 통해 나오지 않았더라도 감염이 되었을 위험이 있어요. 현재 별다른 증상이 없으시다면 특별한 감염을 의심해 보시지 않으셔도 괜찮으나 성관계 후 7주 후에 받으신 만큼 정확도가 100프로라고 확신하기는 어렵습니다. 검사의 정확도를 위해서는 성관계 후 12주가 지나신 후에 남성일 경우에는 가까운 비뇨의학과, 여성일 경우에는 가까운 산부인과에 방문하여 검사를 다시 진행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 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혹시 나도 성병? 성병 증상과 검사, 종류, 예방법에 대해 알려드려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