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에서 뽑은 치아를 보철치료하지 않아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일주일 전 치과방문해서 우측 사랑니 두개를 뽑고 예전 충치로 인해 부러졌던 치아(우측 위 작은 어금니) 뿌리를 함께 발치했습니다. 근데 발치하고 실밥 제거를 하고나니 빈공간이 너무 느껴지는데요. 이부분은 임플란트나 다른보철치료를 하지않고 놔둬도 되는걸까요? 치과에서는 어차피 뿌리도 썩어있어서 뽑자고 하시고나서 별 말씀이 없으시긴합니다...
일주일 전 치과방문해서 우측 사랑니 두개를 뽑고 예전 충치로 인해 부러졌던 치아(우측 위 작은 어금니) 뿌리를 함께 발치했습니다. 근데 발치하고 실밥 제거를 하고나니 빈공간이 너무 느껴지는데요. 이부분은 임플란트나 다른보철치료를 하지않고 놔둬도 되는걸까요? 치과에서는 어차피 뿌리도 썩어있어서 뽑자고 하시고나서 별 말씀이 없으시긴합니다...
치아를 발치한 후 보철치료를 받을지 여부는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발치한 치아가 저작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어금니인 경우, 보철치료를 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저작 기능 저하: 발치한 치아의 빈 공간으로 인해 음식을 씹는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2. 인접 치아 이동: 빈 공간으로 인해 주변 치아가 이동하거나 기울어져 치열이 불균형해질 수 있습니다. 3. 턱 관절 문제: 저작 기능의 불균형으로 인해 턱 관절에 무리가 가고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임플란트나 브릿지와 같은 보철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작은 어금니는 저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해당 부위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보철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치과 의사와 상의하여 개인의 구강 상태와 필요에 맞는 최적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발치해야할 치아를 발치하지 않아서 생긴 잇몸 고름과 염증때문에 감염증치료제랑 진통제 먹다가 어제 치과에서 치아뿌리를 뽑은 것 같습니다. 뽑고나서도 똑같은 감염증치료제랑 진통제를 주셔서 먹고 있는데 혹시 술을 한모금도 마시면 안되나요?
신경 치료하고 보철을 하였는데 아푼 경우가 있습니다. 여러번 치과에서 재치료도 하고 했으나 아풉니다. 지금은 옆 치아인지 헛갈릴 정도 입니다. 이런 경우 치료를 위해 접근 방법 ? 대형 치과? 검사? 어떤식으로 접근 해야 할지 부탁 드립니다.
앞니 심미보철 15년차 입니다. 금속도자기로 보철했고 당시 올세라믹이라고 했습니다. 오래돼서 교체하고 싶은데요. 원래 제 치아를 발치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기존 심미보철 제거 방법이 궁금합니다. 갈아서 뜯어내나요? 아니면 약품이나 장비로 내부 접착제를 녹여서 빼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