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연골연화증, 족저근막염 진단 후 걷기운동 가능할까요?
무릎연골연화증, 족저근막염 둘 다 진단받았는데요 걷기운동은 조금은 해도 될까요? 신체활동이 줄어들어서 잠을 못 자서 삶의 질이 떨어지네요 ㅠ 수면제도 힘들게 끊어서 복용하고 싶지가 않아요
무릎연골연화증, 족저근막염 둘 다 진단받았는데요 걷기운동은 조금은 해도 될까요? 신체활동이 줄어들어서 잠을 못 자서 삶의 질이 떨어지네요 ㅠ 수면제도 힘들게 끊어서 복용하고 싶지가 않아요
무릎연골연화증과 족저근막염 진단을 받으셨다면, 운동을 할 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걷기 운동은 저강도의 유산소 운동으로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조심스럽게 접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의사의 조언을 따르세요: 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의사의 조언을 우선적으로 따르시고, 운동 시작 전에 의사와 상의하세요. 2. 적절한 신발 착용: 족저근막염에는 충격 흡수가 좋은 신발이나 깔창을 사용하여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운동 강도와 시간 조절: 처음에는 짧은 시간 동안 천천히 걷는 것으로 시작하고, 점차적으로 시간과 강도를 늘려가세요. 통증이 심해지면 즉시 운동을 중단해야 합니다. 4.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 걷기 운동 전후로 무릎과 발바닥 근육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높이는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을 함께 해주세요. 5. 휴식 취하기: 운동 후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필요하다면 얼음찜질 등을 통해 통증을 관리하세요.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것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신체 활동을 통해 수면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수면제 복용을 힘들게 끊으셨다면, 다시 복용하기보다는 운동과 함께 수면 위생을 개선하는 방법을 시도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정해진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기, 카페인 섭취 줄이기, 저녁 시간에 무거운 식사 피하기 등의 수면 위생 습관을 개선해 보세요. 만약 운동을 시작하시고도 수면 문제가 지속된다면, 수면 장애 전문의와 상담을 고려해 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레이저 포경 받고 오늘이 8일째인데 수술부위 왼쪽과 아랫쪽은 아직도 피가 쫌 나는데 정상일까요 일주일 이후에 안아파지면 보통 붕대도 잘 안한다는데 저는 아파서 계속 하고 있어요 이게 비정상인지 궁금해요
진성포경 4일차입니다. 소독한지 하루지났는데 속옷을 입는게 편해서 속옷을 입고 생활했더니 귀두주변 포자? 같은게 터진건지 피가 많이납니다..... 이거 정상일까요?
9일동안 생리대 한장으로 버틸 수 있을만큼 피가 나와서 (양은 소량) 생리인줄 알았는데 5일뒤에 6일정도 소량의 피가 나오고 다음날 바로 생리처럼 양도 어느정도 나오고 5일동안 생리를 했습니다 ! 그전에는 부정출혈이나 생리전에 나오는 출혈인거같구요 ! 그리고 나서 8일정도 뒤에 또 극소량은 아니고 소량정도 피가 또 나와요.. 저번달에도 이래서 병원 갔더니 난소가 여러개있다고 그것때문인거 같다고 하셨는데 다난성난소증후근때문에 계속 이렇게 피가 나오는걸까요..? 몇일동안 잠을 3시쯤자서 11시에 계속 일어니긴 했습니다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