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직염이라는데 꼭 대학병원 가야하나요?
안과로 가야하나요 피브과 가야하나요
안과로 가야하나요 피브과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안와봉소직염 등의 소견을 들으셨다면 안과 진료 받아보시면 좋겠어요.
무료상담 서비스는 조언의 역할이기 때문에 병명을 진단할 수 없는 점 양해 부탁드려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건강검진 결과에사 cpk가 높다는데 무슨 뜻인지 병원에 가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최근 머리가 멍한 증상이 반복되어 동네 신경과 의원에서 진료를 받았습니다. 얼굴에 가면처럼 생긴 장비로 스트레스 관련 검사를 진행했고, 단순 긴장이나 스트레스일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다만 혹시 모르니 심전도를 찍자고 하셔서 검사를 했고, 심전도 끝부분이 조금 이상해 보인다며 대학병원 진료를 권유해주셨습니다. 소견서에는 심전도 그래프와 증상 관련 설명만 첨부되어 있었고요. 그 후 인근 종합병원(대학병원은 예약 대기 중) 내과에서 해당 심전도를 보고 “큰 문제 없다”고 하셨고, 저는 1개월 전 건강검진에서도 심전도 이상 없음 판정을 받은 상태입니다. 그런데 제가 찝찝한 이유는, 첨부된 심전도에서 “Consistent with infarct(심근경색과 일치)” 라는 기계 판독 문구를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 실제로 심장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됩니다. 왜 선생님들은 별일 아니라는 식으로 얘기하셨을까요..? 대학병원은 꼭 가봐야 할까요?
귀가 먹먹하고 이명이 들려 저음성 난청을 진단받았다가 차도가 없어 다른병원에서 이관염으로 추정된다는 진단을 받고 항생제와 소염제를 먹은 후 먹먹한 증상이 많이 완화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아직은 아침에 일어나면 먹먹함과 이명이 아직 들립니다. 그러다가 시간이 지나면(특히 음식을 먹거나 말을 많이 하면) 먹먹함과 이명이 사라집니다. 의사선생님께선 약 복용후에도 차도가 없으면 대학병원을 가보라 하셨는데 분명히 차도가 있는데 또 완전히 나은 것은 아닌상태인데 대학병원을 가서 검사받아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