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독 감염 여부 확인을 위해 어떤 피 검사가 필요할까요?
만약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매독이 감염됐었는데 치료 받은 적이 있는지 (독시사이클린 복용) 궁금할 때 매독 피검사 중 어떤 종류를 받아봐야 확실히 알 수 있을까요?
만약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매독이 감염됐었는데 치료 받은 적이 있는지 (독시사이클린 복용) 궁금할 때 매독 피검사 중 어떤 종류를 받아봐야 확실히 알 수 있을까요?
매독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주로 두 가지 혈액 검사를 시행합니다. 첫 번째는 비트레포네말 검사로, 신속 혈장 반응 검사(RPR)나 매독 혈청 검사(VDRL)가 해당됩니다. 이 검사들은 매독 감염을 초기 단계에서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두 번째는 트레포네말 검사로, 형광 트레포네말 항체 흡수 검사(FTA-ABS)나 트레포네말 파리디움 응집 검사(TPPA)가 있습니다. 이 검사들은 매독에 대한 항체를 확인하여 과거에 감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과거에 매독에 감염되었는지, 그리고 치료를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싶다면, 트레포네말 검사를 통해 과거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비트레포네말 검사의 결과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치료를 받았다면 비트레포네말 검사에서 수치가 감소하거나 음성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트레포네말 검사는 치료 후에도 양성으로 남을 수 있기 때문에, 두 가지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작년 23년 2월~4월까지 남친이랑 관계가 있었는데요 작년23년도 5월에 HPV바이러스 음성 올해24년 1월 HPV바이러스 음성 올해24년 4월 HPV바이러스 음성 이렇게 검사를 받았는데... 제가 HPV감염 안된걸까여? 잠복이 된걸까여? 제가 작년23년 5월~24년 1월사이에 검사는 하지않아서 걱정이 됩니다. 더 검사를 해야할까요?
임신여부 확인을 위한 피검사를 진행했는데 당일 하혈인지 생리인지 싶은 피가 비치는데 결과에 지장을 줄까요,,?
누군가의 진물, 혈액이 묻었던 바늘에 찔려 가볍게 피가 났습니다. 그 누군가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질문할 때, B형 간염, C형 간염, 매독, HIV 외에 또 어떤 걸 물어봐야 할까요? (감염내과 카테고리가 없어서 응급의학과로 분류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