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 hsil 진단 후 액상세포진 검사 결과 반응성 세포변화만 나올 수 있을까요?
자궁경부에 고등급병변 hsil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액상세포진 검사를 시행했을때 반응성 세포변화만 나올 수도 있나요....? 있다면 그런 경우가 많은 편일까요 ..?
자궁경부에 고등급병변 hsil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액상세포진 검사를 시행했을때 반응성 세포변화만 나올 수도 있나요....? 있다면 그런 경우가 많은 편일까요 ..?
자궁경부의 고등급 상피내 병변(HSIL) 진단을 받은 후 액상세포진 검사(Liquid-based cytology, LBC) 결과에서 반응성 세포변화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드문 경우입니다. HSIL은 세포의 이상을 나타내는 상태이며, 액상세포진 검사는 이러한 이상 세포를 발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반응성 세포변화는 염증, 감염 또는 호르몬 변화와 같은 다른 요인에 의해 세포가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HSIL과는 다른 결과입니다. HSIL이 확인된 상태에서 액상세포진 검사를 시행했을 때, 일반적으로는 HSIL 또는 그에 상응하는 이상 세포가 검출되어야 합니다. 만약 반응성 세포변화만 나타난다면, 이는 검사의 민감도, 세포 채취의 정확성, 기술적인 문제, 또는 HSIL 병변의 자연적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추가적인 진단 절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궁경부확대촬영검사와 같은 자궁경부의 더 자세한 검사를 통해 HSIL의 존재와 범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만약 HSIL이 확인되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따라서 HSIL 진단 후 액상세포진 검사 결과에 대해 의문이 있다면, 담당 의료진과 상의하여 추가적인 평가나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자궁경부 상태가 hsil로 고등급병변 상태인데 액상세포진 암검사 에는 반응성 세포변화로 진단이 내려질 수 있나요?
자궁경부 HSIL인데 액상세포진 검사에서 반응성세포변화로 오진나올 가능성이 얼마나 되나요 ?
자궁경부 hsil 로 고등급 병변인데 액상세포진 검사에서는 반응성세포변화만 나올 수 있나요 만약 있다면 그런 경우가 많나요 ? 아니면 적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