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복용 중인데 뾰루지 호전 안돼, 다른 균 감염 가능성?
소음순 뾰루지로 항생제 복용중인데 호전이 안되고 더 커지고 통증이 심해졌는데 그럴 경우 다른 종류의 균에 감염되었을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다른균이면 예를들면 어떤거죠? 항생제는 어떤 균을 죽이는거고 , 다른 균은 무엇인지요??.
소음순 뾰루지로 항생제 복용중인데 호전이 안되고 더 커지고 통증이 심해졌는데 그럴 경우 다른 종류의 균에 감염되었을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다른균이면 예를들면 어떤거죠? 항생제는 어떤 균을 죽이는거고 , 다른 균은 무엇인지요??.
항생제를 복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음순의 뾰루지가 호전되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는 경우, 몇 가지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항생제 내성: 처방받은 항생제가 해당 균에 효과가 없는 경우, 즉 균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종류의 항생제로 치료 방법을 변경해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복용을 중단한다고 해서 다 내성이 생기는 것은 아니겠지만, 균이 완전히 죽지 않고 살아남으면 그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갖게 될 수도 있으므로 중단 시 의사와 상담하실 것을 권장드려요. 2. 잘못된 항생제 선택: 감염된 균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처음에 감염된 균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항생제를 선택했다면,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3. 다른 종류의 감염: 세균 외에도 바이러스, 곰팡이 등 다른 종류의 병원체에 의한 감염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헤르페스 바이러스나 칸디다균(곰팡이) 등이 원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항생제는 효과가 없습니다. 항생제는 세균 감염에 사용하며,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 감염에 사용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예요. 4. 항생제 부작용: 드물게 항생제 복용으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부작용으로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항생제는 주로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양한 종류의 항생제가 있고 각각 특정한 범위의 세균에 대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페니실린 계열은 그람양성균에, 세팔로스포린 계열은 넓은 범위의 세균에 효과적입니다. 증상이 악화되고 있다면,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의사는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감염된 균의 종류를 확인하고, 그에 맞는 치료법을 제안할 것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 1차 치료제이다면, 만약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이 아닌 다른 폐렴일 경우에도 클래리트로마이신으로 치료가 되나요? 아니면 클래리트로마이신 치료중에 마이코플라즈마균이 검출이 안됐다면 다른 계열 항생제로 변경해서 치료해야하나요?
항생제는 세균성 감염에 쓰는 약이라는 것을 알지만 바이러스 감염인지 세균감염인지 감별이 불가능하기에 바이러스 감염에도 경험적항생제를 사용하게 되는 일이 많이 있을텐데요, 애초에 세균성 질환이 아니었다면 내성균이 생길 일도 없는건가요? 세균을 죽이기 위해 충분한 기간동안 항생제를 투약하게 되는데, 애초에 세균감염이 아닌 바이러스 감염에 항생제를 사용한거라면 내성균은 발현될 일이 없는건가요, 아니면 항생제를 복용하는 자체가 내성균을 유발시키는건가요?
후두에 녹농균에감염될수도잇나요? 녹색가래가나왓는데 지금은노란색이예요..역류성후두염이라는데 후두에녹농균에감염되면 항생제복용해도 여전히녹색가래가나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