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피임약 복용 후 생리주기 이전에 부정출혈, 임신 초기 부정출혈 가능성은?
7/24일날 응급피임약을 먹고 7/30일날 마지막 관계를 가졌습니다 아직 생리주기가 아닌데 부정출혈이 나오고 검은피가 나오는데 임신 초기 부정출혈일 가능성도 있는걸까요?
7/24일날 응급피임약을 먹고 7/30일날 마지막 관계를 가졌습니다 아직 생리주기가 아닌데 부정출혈이 나오고 검은피가 나오는데 임신 초기 부정출혈일 가능성도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사후피임약]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응급피임약 복용 후 부정출혈은 흔한 부작용 중 하나로, 응급피임약은 일반 경구피임약에 비해 약 10배 가량 높은 호르몬 함량을 가지고 있어, 체내 호르몬 농도를 인위적으로 갑자기 폭발적으로 증가시켜 착상을 방해하는 원리입니다. 이로 인해 생리 주기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부정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월 24일에 응급피임약을 복용하고 7월 30일에 마지막 관계를 가졌다면, 현재 나타나는 부정출혈은 응급피임약의 영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임신 초기 부정출혈일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관계 후 2주가 지난 시점에 임신 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사후피임약을 복용한 사람 중 6.8%는 월경 예정일에서 7일 이전에 월경이 나타났다고 하며, 대부분의 여성(88.2%)에서는 점상출혈이 나타났다는 내용도 명시되어 있습니다.
만약 부정출혈이 지속되거나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가까운 병원이나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출혈이 있다고 해서 피임이 잘 되었다고 보거나, 출혈이나 다른 부작용이 없다고 해서 피임에 실패했다고 보는 것은 아니므로, 임신 여부에 대해 불안하시면 임신테스트기를 사용하여 비임신 여부를 확인하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마지막 생리일 10/29, 10/31 응급피임약 24시간 안에 복용했고 11/5~12 부정출혈인지 생리인지 모르겠지만 생리양과 같은 출혈을 했습니다. 원래 생리주기가 불규칙적이였지만 아직까지 생리를 안합니다. 임신 가능성 있을까요? (임신테스기는 응급피임약 복용 2주 후 두차례했지만 모두 한줄이였습니다.)
응급피임약 복용 후 2주정도 뒤에 생리주기에 생리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생리가 3일만에 끝나서 혹시 부정출혈일수도 있을까요?
다낭성 난소 증후군 진단 받고 경구피임약(야즈) 복용중이었으나 생리 후 약 1주 정도 휴약기를 가진 시점에서 피임에 실패하여 응급피임약(엘라원) 복용하였습니다. 다만 응급피임약 복용 후 3주가 경과하였으나 생리 또는 부정출혈이 전혀 없는 상태인데요. 기존에 먹던 야즈 복용이 언제부터 가능할지 여쭙니다. 계속 부정출혈이나 생리하길 기다려야 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