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축성위염 폐쇄형 진단, 심각한 상태인가요?
1. 위축성위염 폐쇄형을 진단받았는데 많이 심각한 상태인가요? 2. 생야채가 안좋을까요? 3. 위염종류중 위암에 치명적인 순서의 위염은? 4. 우유 안좋을까요?
1. 위축성위염 폐쇄형을 진단받았는데 많이 심각한 상태인가요? 2. 생야채가 안좋을까요? 3. 위염종류중 위암에 치명적인 순서의 위염은? 4. 우유 안좋을까요?
1. 위축성 위염 폐쇄형은 위 점막이 얇아지고 위산 분비가 감소하는 상태로, 위암 발병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염이 직접적으로 위암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약물 치료와 식습관 개선을 통해 충분히 암을 예방할 수 있어요. 심각성은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르므로,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구체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생야채는 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위축성 위염이 있는 경우 조리된 야채를 섭취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개인의 소화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본인에게 맞는 식단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위염 중 위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순서는 일반적으로 만성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이형성증 순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위축성 위염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우유는 위산을 중화시켜 일시적으로 위장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위산 분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반응에 따라 다르므로, 우유 섭취 후 증상이 악화된다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금년 8월23일에는 A병원에서는 만성표재성위염으로 진단받았는데 10월초 위점막하종양때문에 내시경을 했는데 위축성위염 폐쇄형이라고 검사결과지에 적혀있네요. 진단이 상이핰이유와 어떻게 관리해야하나요
위축성 위염 폐쇄형인데 개방형이 더 위험한가요? 위축성 환자의 몇%가 위암 진단을 받나요?
아래 내용으로 보면 심한 만성위염 환자 중 10%가 위암에 걸린다는데 심한 만성위염이 어떤 종류의 어떤 것임가요? 예를들어 위축성 위염 폐쇄형?개방형? 만성 위염은 발병 원인과 관계없이 위장 점막에서 이미 병적인 변화가 진행하는 상태이므로 원래대로 회복하기 어렵습니다. 만성 위염으로 진단된 경우, 정기적인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위염의 정도 변화에 대한 추적 검사를 해야 합니다. 추적 검사가 필요한 이유는 일부 만성 위염은 위궤양, 위암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심한 만성 위축성 위염 환자의 10% 이상에서 암이 발생합니다. 위암으로 진행하는 데 16~24년 정도가 걸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