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우신염 의심, 산부인과 vs 비뇨기과 선택은?
신우신염 또는 방광염 의심이 되는데 산부인과로 가야하나요 비뇨기과로 가야하나요?
신우신염 또는 방광염 의심이 되는데 산부인과로 가야하나요 비뇨기과로 가야하나요?
신우신염이나 방광염은 요로 감염의 일종으로, 여성의 경우 산부인과 또는 비뇨기과 어느 곳에서도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신우신염의 경우 비뇨의학과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산부인과는 여성의 생식기 관련 질환을 전문으로 다루고, 비뇨기과는 남녀 모두의 비뇨계통 질환을 전문으로 다룹니다. 여성의 경우, 특히 요로 감염이 반복되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거나, 여성 생식기 특유의 다른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산부인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에, 요로 감염의 증상만 있고 여성 생식기 특유의 증상이 없다면 비뇨기과를 방문하는 것도 적절합니다. 결론적으로, 여성의 요로 감염 증상이 있고 여성 생식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비뇨기과를 방문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러나 여성 생식기에 특별한 증상이 있거나 임신 가능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면 산부인과를 방문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우신염이 의심된다면 비뇨의학과로 내원하여 진료를 받아보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빈뇨, 가려움, 잔뇨감, 배뇨통은 아예 없어요. 가만히 있을 때도 통증 없어요. 근데 생식기 쪽이 압박될 때? (다리를 모은 상태에서 쪼그려 앉을 때, 앉았다 일어날 때, 상체를 숙일 때, 의자에 앉을 때 등..) 자세에 따라 요도 쪽에 통증이 있어요. 뭔가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어요. 아랫배도 살짝 아픈 것 같아요. 요도 찌르는 듯한 통증이 예전부터 한번씩 이랬는데 괜찮아졌다가 또 아팠다가 해요.. (성경험 있어요) 그리고 저번 달에도 위와 같은 요도 통증이 잠깐 있다 멈추었고, 그러고 며칠 후 5일 동안 (6/11~15) 부정출혈이 있었습니다. (거의 갈색에 가까운 어두운 피가 아주 조금씩 나왔어요) (6/11~15 부정출혈, 7/9 성관계, 7/12~16 생리) 그리고 현재 위의 요도 통증이 있습니다. 배뇨통이 없어서 방광염은 아닐 것 같은데 의심되는 질환은 어떤 게 있나요? 그리고 비뇨기과와 산부인과 중 어디를 가야 할지 알려주세요.
여자인데 비뇨기과가서 방과염,신우신염 ,방광내시경, std검사 다 해주나요?
발열,오한,옆구리 통증,빈뇨,잔뇨감이 있어서 급성 신우신염 같아요. 여자인데 보통 비뇨기과에 가는 경우가 많나요? 비뇨기과를 갈지 산부인과를 갈지 고민이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