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입니다.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래에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
드라이기로 귀를 말린 경우
드라이기의 뜨거운 바람이 귀 외이도나 고막에 손상을 줄 가능성은 낮습니다. 특히 통증이 없고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화상이나 손상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드라이기의 뜨거운 바람을 직접적으로 귀에 오래 노출시키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귀먹먹함은 비염이나 이관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 깊게 관찰하시길 바랍니다.
-
누울 때 귀가 괜찮고 일어날 때 귀가 먹먹한 증상
이 증상은 이관 기능 장애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관은 귀와 코를 연결하는 관으로, 압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임신 중에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점막이 부어 이관 기능이 일시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자연치료 가능성 및 출산 후 호전 여부
임신 중 발생하는 이관 기능 장애는 출산 후 호르몬 변화가 안정되면서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18주차라면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완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비인후과에서의 검사 및 임산부 치료
이비인후과에서는 청력검사, 이관 기능 검사, 내시경 검사 등을 통해 귀먹먹함의 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산부의 경우 약물 사용이 제한적이므로, 비약물적 치료(예: 증상 완화를 위한 자세 조정, 따뜻한 찜질 등)가 주로 권장됩니다. 필요 시 안전한 약물을 처방받을 수 있으니 전문의와 상담하시길 바랍니다.
-
관리 방법
- 샤워 후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비염이 있다면 코를 자주 세척하거나 습도를 유지하여 점막 부종을 완화하세요.
- 귀먹먹함이 심할 경우, 껌을 씹거나 하품을 하여 이관을 열어주는 동작을 시도해보세요.
-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면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으세요.
임신 중에는 몸의 변화가 많으니 불편한 증상이 있으면 주저하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건강한 임신 기간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