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궤양 진단 시 임상적 진단인가요?
각막궤양이 발생했는데 배양검사없이 항균제와 항바이러스제 처방을 동시에 하였다면 임상적경험적추정진단으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진단인가요? 아니면 세균감염에 대한 진단인가요? 그리고 임상적진단은 원래 이렇게 하는건가요?
각막궤양이 발생했는데 배양검사없이 항균제와 항바이러스제 처방을 동시에 하였다면 임상적경험적추정진단으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진단인가요? 아니면 세균감염에 대한 진단인가요? 그리고 임상적진단은 원래 이렇게 하는건가요?
각막궤양의 경우, 배양검사 없이 항균제와 항바이러스제를 동시에 처방하는 것은 임상적 경험에 기반한 추정 진단으로, 세균 감염과 바이러스 감염 모두를 염두에 두고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감염의 원인이 명확하지 않을 때,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흔히 사용되는 접근법입니다. 예를 들어, 세균성 결막염의 경우 끈적한 삼출물이 분비되며,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아데노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단순포진바이러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소견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상적 진단은 환자의 증상, 병력, 의사의 경험 등을 종합하여 이루어지며, 배양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이러한 경험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세균 감염과 바이러스 감염 모두에 대한 진단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병원 방문 예정일이 지난 상황에서 증상의 악화가 보이는 경우에는 빠른 안과 진료가 필요해 보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병원진료시 대상포진이라해서 약먹고있는데 진단서에는 임상적추정진단이라나와서 진단비 지급거절당했습니다 수포 및 극심한통증으로 대상포진 맞다고하셨는데 최종진단받으려면 어떤검사받아야해요?
헤르페스 2형의 임상적 특징은 무엇이 있나요? 헤르페스 2형은 의사 선생님께서 육안으로 보고 진단이 가능한가요? 육안으로 봤을 때 헤르페스 처럼 보이지 않는다고 검사할 필요는 없을까요?
진단서에 임상적 추정 상세불명의 (주상병)우울에피소드라고 써있으면 우울증인건가요? 아니면 단순 추정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