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에서 처방받은 항진균제 후 노란냉이 발생, 어떤 균 종류에 감염된 것인가요?
제 경우는 어떤 균 종류의 질염같나요?? 맨처음 산부인과가니 균검사없이 칸디다같다고 항진균제를 처방받았어요 이후 증상이 절반쯤밖에 호전이 안돼서 다시 가니까 균검사+독시 처방받고 검사결과기다리는중인데 증상이 없다가 갑자기 노란냉이 나오네요 전 어떤 균류에 감염된걸로 보이나요?ㅜㅜ
제 경우는 어떤 균 종류의 질염같나요?? 맨처음 산부인과가니 균검사없이 칸디다같다고 항진균제를 처방받았어요 이후 증상이 절반쯤밖에 호전이 안돼서 다시 가니까 균검사+독시 처방받고 검사결과기다리는중인데 증상이 없다가 갑자기 노란냉이 나오네요 전 어떤 균류에 감염된걸로 보이나요?ㅜㅜ
질염의 원인은 다양하며,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균 종류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칸디다 질염의 경우 흰색의 치즈 같은 분비물과 가려움증이 특징적이지만, 노란색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 세균성 질염이나 트리코모나스 질염을 의심해 볼 수 있어요. 세균성 질염은 질 내 정상적인 유산균이 사라지게 되었을 때 혐기성 세균의 과도한 번식으로 생기는 질환으로, 노란색 혹은 회색의 분비물과 생선 비린내 같은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트리코모나스 질염은 녹색 혹은 거품 섞인 냉이 나타나며, 악취와 함께 콧물 같은 냉이 나타날 수 있어요. 하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균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것이 가장 좋으며,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다시 병원을 방문하여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산부인과에서 std 검사 받았을 때 결과로 마이코플라즈마균이 검출되었다고 하는데 마이코플라즈마가 종류가 두 가지잖아요 무엇에 감염되었다는걸까요?
혹시 항생제마다 반응하는 균이 다른가요? 그람양성이나 그람음성 중에서도 종류가 있나해서요. 현재 바이독시정이랑 항진균제를 5일동안 복용중인데 목에 있는 모낭염이 늘면 늘었지 줄어들지를 않아요. 바이독시정이랑 항진균제에 반응하는 종류의 균이 아닌것 같은데 대학병원에 가서 균 검사를 한뒤에 나온 균에 따른 약을 처방받아야하나요?
칸디다질염이 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생리가 시작됐는데, 음모 부분과 음핵부분, 주로 성기 윗쪽의 소양감이 너무 심한데 산부인과에서 항진균제만 처방 가능할까요? 또 생리중에 항진균제를 복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