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과 외래에서 혈압 차이 원인은?
입원중에 하루에도 여러번 혈압을 재면 80/110 정도로 일정하게 나오는데(목발 연습한다고 몇분 돌아 다니고는 90/130나오긴 함) 병원 외래방문해서 혈압계로 재보면 90/140(100/150까지)씩이나 나옵니다. 이렇게 차이가 큰 이유가 있나요? 외래간 병원에서 혈압 재보래서 잰건데 혈압이 저렇게 나와도 병원에선 딱히 말해주는것도 없구요..
입원중에 하루에도 여러번 혈압을 재면 80/110 정도로 일정하게 나오는데(목발 연습한다고 몇분 돌아 다니고는 90/130나오긴 함) 병원 외래방문해서 혈압계로 재보면 90/140(100/150까지)씩이나 나옵니다. 이렇게 차이가 큰 이유가 있나요? 외래간 병원에서 혈압 재보래서 잰건데 혈압이 저렇게 나와도 병원에선 딱히 말해주는것도 없구요..
AD
혈압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입원 중과 외래에서 혈압 차이가 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측정 환경: 입원 중에는 안정된 상태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외래에서는 이동, 대기, 긴장 등으로 인해 혈압이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병원 방문 자체가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어 "백의 고혈압"이라고 불리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활동 수준: 입원 중에는 활동량이 제한적이지만, 외래 방문 시에는 이동하거나 활동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활동 후 혈압이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측정 방법: 혈압 측정 기기의 종류, 측정 위치, 측정 자세 등이 혈압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팔의 위치가 심장 높이보다 낮거나 높으면 혈압이 다르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시간대: 혈압은 하루 중 시간대에 따라 변동합니다. 일반적으로 아침에 혈압이 더 높고, 오후나 저녁에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심리적 요인: 외래 방문 시 긴장감이나 불안감이 혈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혈압이 외래에서 높게 나왔다고 해서 반드시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높은 혈압이 관찰된다면, 고혈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혈압을 규칙적으로 측정하여 평균 혈압을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만약 혈압이 지속적으로 140/90 이상으로 나타난다면,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입원했을 땨는 심박수가 정상이랬어요 근데 병원 외래 가면 120 130꺼지 뛰고 가끔 혈압잴 일 잇은 120 이러는데 왜그러는건가요? 전 정상 심박수일깡ㅅ?
안녕하세요 알콜의존으로 정신과 외래를 다니고 있는데 정신과에서 혈압약을 같이 처방받을 수 있나요?
아버지가 얼마전 전립선 조직검사 후 고열과 오한으로 이틀간 응급실에 계시고 그때당시 저혈압이었습니다.(원인은 요로감염) 이틀간 입원하여 항생제를 맞았고, 일주일간 입원하라고했는데 체온,혈압 전부 정상이라고 항생제 처방받고 주말만 입원 후 퇴원했습니다 염증수치 13으로 퇴원했는데 일상생활중 패혈증 올 확률이 있을까요? 보통 일주일간 입원이라는데 빨리 퇴원하여 너무 걱정됩니다.. 소변은 계속 자주보고계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