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페스 2형 감염 의심, 추가 검사 필요한가요?
여성과 구강성교만 하였고 이후 5주 뒤 여성의 헤르페스 2형 감염 사실을 알고 혈액검사를 진행했습니다. (소변볼때 불편한 듯한 증상 외에는 무증상, 수포없었음)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까요? 혈액검사 HSV IgG Negative(0.50) HSV IgM Borderline(0.916) 소변검사 Herpes simplex virus 1.2 Negative
여성과 구강성교만 하였고 이후 5주 뒤 여성의 헤르페스 2형 감염 사실을 알고 혈액검사를 진행했습니다. (소변볼때 불편한 듯한 증상 외에는 무증상, 수포없었음)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까요? 혈액검사 HSV IgG Negative(0.50) HSV IgM Borderline(0.916) 소변검사 Herpes simplex virus 1.2 Negative
헤르페스 바이러스 2형(HSV-2)에 대한 의심이 있는 경우, 혈액검사 결과와 증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추가 검사의 필요성을 결정해야 합니다. 현재 제공해주신 정보에 따르면, HSV IgG는 음성이고, IgM은 경계선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IgG는 감염 후 시간이 경과하면 검출이 되는 항체이며, IgM은 감염 초기에 검출이 되는 항체입니다. 경계선 수치의 IgM 결과는 최근 감염이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조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시간을 두고 재검사: IgM 항체는 감염 초기에 나타나며, 시간이 지나면서 IgG 항체로 전환됩니다. 몇 주 후에 다시 혈액검사를 진행하여 IgG와 IgM 수치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증상의 지속적인 관찰: 현재 무증상이거나 경미한 증상만 있는 경우, 증상이 나타나거나 변화하는지 지속적으로 관찰합니다. 헤르페스 감염의 경우 수포나 궤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3. 전문가와 상담: 헤르페스 감염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성병 전문의나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사는 증상, 검사 결과, 그리고 가능한 노출 경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추가 검사나 치료를 권장할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현재 상황에서는 시간을 두고 재검사를 고려하거나, 증상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헤르페스 2형 의심 증상으로 비뇨기과 다녀왔습니다. 성기 뿌리쪽에 물집이 다수 생겨 저번주에 헤르페스 소변검사랑 물집부위 채취해서 하는 검사랑 같이 진행했는데 음성 떴습니다. 금일 혈액검사 추가로 진행하고 왔는데 이 경우 헤르페스 2형 감염일 확률이 거의 없다고 보아도 되는건가요?
현재 상황은 의심 성관계 8-9주차입니다 . 헤르페스2형 2주차 4주차 6주차 7주차 피검사 전부 낮은 수치로 음성 나온상황입니다 . 헤르페스2형의 첫 감염 증상 중 근육통 , 목감기 증상 등 있다는데 보통 감염 후 며칠 이내로 나온다고 알고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이 8주차에 나타나는게 흔한가요? 무증상 감염도 있다길래 걱정되네요.. 보통 얼마만에 저러한 증상들이 나타날까요? 추가로 에이즈 항원항체, 매독,헤르페스2형에대한 7주차피검사 신뢰도는 높은 편일까요?
의심관계 12주후 헤르페스2형 피검사 음성이면 감염이 없다고 해석해도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