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관계 중 성기가 항문으로 들어갔을 때 성병 또는 균 감염 가능성은?
성관계도중 의도치 않게 성기가 항문으로 들어갔는데 성병이나 균 감염의 가능성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진료를 받아보는게 좋을까요?
성관계도중 의도치 않게 성기가 항문으로 들어갔는데 성병이나 균 감염의 가능성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진료를 받아보는게 좋을까요?
성관계 중 성기가 항문으로 들어갔을 때 성병이나 균 감염의 가능성은 분명히 있습니다. 항문은 다양한 세균과 바이러스가 존재할 수 있는 곳이며, 특히 HIV,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와 같은 성병의 전파 가능성이 있어요. 적절한 보호 장치 없이 성관계를 가졌다면 감염 위험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에이즈 감염의 경우 주로 혈액으로 인해 전파되며, 정액, 질 분비물 등에 의해서도 전파될 수 있어요. 이러한 것들이 점막(입, 항문, 생식기 등)이나 출혈 중인 상처에 닿으면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도치 않게 발생했다 하더라도, 만약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거나 걱정이 된다면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성병 검사는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또한, 성병은 초기에 발견하고 치료할수록 합병증을 예방하고 파트너에게 전파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HIV가 우리 몸에 들어와도 6~12주 정도가 지나야 항체가 형성되고, 항체가 형성되어야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알 수 있어요. 따라서 의심 성관계를 기준으로 4주 경에 항체검사를 받아 보시고, 해당 검사 결과가 음성이라면 6주 경에 항원항체 검사로 재검사 하거나 12주 경에 항체검사를 다시 시행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한 빨리 성병 전문 클리닉이나 병원을 방문하여 상담 및 필요한 검사를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개인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성관계 중 성기쪽 피부가 약간 찢어졌는데, 관계 과정에서 항문과 성기의 잠깤의 접촉이 있었습니다. (삽입x) 에이즈 감염 위험이 있을까요? 있다면 어떻게 조치하는게 좋나요?
균 검사 결과 시 성기포진이 나왔는데 현재 포진이 나오지는 않았습니다 이때 성관계를 했을 때 감염률이 높은가요?
성병균 상재균 차이. 성병균은 외부에서 생존하기 힘들지만 그래도 몇분이라도 생존이 가능한데 생존하더라도 체내로 들어가서 감염되기 힘들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렇다면 상재균은 외부에서 생존가능하다해도 체내로 들어가서 감염되기 힘든건 똑같은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