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염증 치료에 스테로이드 복용 후 호전 없음, 비감염 연조직염은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요?
두달정도 전부터 피부 안 염증으로 한쪽 얼굴이 부어있었습니다. 스테로이드 를 일주일 처방받아서 복용했는데 열감 제외하고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 다만 그 전에도 항생제를 먹었지만 호전이 없고 오히려 증상이 심해졌었는데, 당시 소염제를 먹지 않아서 그런걸까요? 보통 비감염 연조직염 은 스테로이드 얼마나 먹어야 완찌되나요?
두달정도 전부터 피부 안 염증으로 한쪽 얼굴이 부어있었습니다. 스테로이드 를 일주일 처방받아서 복용했는데 열감 제외하고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 다만 그 전에도 항생제를 먹었지만 호전이 없고 오히려 증상이 심해졌었는데, 당시 소염제를 먹지 않아서 그런걸까요? 보통 비감염 연조직염 은 스테로이드 얼마나 먹어야 완찌되나요?
비감염 연조직염(비감염성 셀룰라이트)의 치료에 있어 스테로이드와 같은 항염증제 사용은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 복용 후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 다음과 같은 접근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정확한 진단**: 비감염 연조직염이 확실한지, 혹은 다른 피부 질환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스테로이드 용량 및 기간**: 스테로이드의 용량과 복용 기간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는 단기간 사용 후 점차 줄여나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증상이 지속된다면 용량이나 복용 기간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다른 치료 옵션**: 스테로이드 외에도 면역억제제나 다른 종류의 항염증제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4. **생활습관 개선**: 충분한 휴식, 균형 잡힌 식사,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추가 검사**: 혈액 검사나 피부 생검 등을 통해 다른 원인을 배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피부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스테로이드 용량 및 복용 기간을 재조정하거나 다른 치료 옵션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소염제의 사용 여부도 전문의와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앞서 언급된 것처럼 스테로이드 제제는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며, 임의로 약을 중단하기보다는 처방한 의사와 충분한 복약 상담을 받아보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연조직염 병원 가도 안낫는데 어떡하나요? 귀걸이로 시작해 귀에 있던 염증이 목과 쇄골까지 염증이 생겨 병원만 10군데 가까이 가보고 거의 1년 가까이 병원을 돌아다녔어요. 신경외과에선 경부 임파선염이라고 하고 종합병원 이비인후과에선 연조직염이라고 하더라고요. 항생제도 많이 먹어보고 주사도 맞아봤지만 역시나 큰 효과는 없더라고요. 병원을 가도 그다지 달라지지가 않는데 어떻게 해야되나요?
7개월 아이의 팔에 연조직염(봉와직염)이 생겼어요 항생제 치료 중인데 냉찜질도 효과가 있을까요??
5일전부터 한쪽 광대가 욱신거리고 욱신거리는 부위가 약간 부어있습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첫 진료시, 부비동염은 아니고 염증이 있을 수 있어 염증 약을 처방받고 3일 복용한 뒤 그다지 호전되지 않아서 재진료 시에, 코 문제는 전혀 아니고 연조직염인것같다고 진단을 받았습니다. 근데 저는 얼굴에 상처가 생긴 적이 없는데 연조직염이 걸릴 수 있는 것일까요? 일반적으로 연조직염, 봉와직염을 검색하면 나오는 사진처럼 빨갛게 변하지도 않았고, 해당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도 없습니다. 피부색은 그대로인데 눈밑 광대가 욱신거리고 붓기만 했습니다. 고개를 숙이거나 부은 광대쪽으로 숙이면 욱신거림이 좀 더 잘 느껴집니다. 그런데도 연조직염일 수 있는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