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수치 정상인데 증상 있을 때 약 복용 필요한가요?
갑상선TSH0.05 T3.T4정상수지입니다. 건강검진하고결과이렇게나와는데. 병원가서물어니약먹기에좀애매하데요. 그래서 피검사다시하고왔어요. 근데증상은조금있어요. 약먹어야되나요
갑상선TSH0.05 T3.T4정상수지입니다. 건강검진하고결과이렇게나와는데. 병원가서물어니약먹기에좀애매하데요. 그래서 피검사다시하고왔어요. 근데증상은조금있어요. 약먹어야되나요
갑상선 기능 검사에서 TSH 수치가 낮고 T3, T4 수치가 정상 범위에 있다면, 이는 아형 갑상선 기능 항진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증상이 있다면, 그 증상의 정도와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치료를 결정해야 합니다. 증상이 경미하고 일상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상태를 지켜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계속해서 불편을 느낀다면, 내분비내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약물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증상의 정도와 최근에 다시 한 피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치의와 상의하여 약물 치료가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치료 방법이 적합한지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제가 7달간 이소티논을 150알 먹고, 그 후 4개월간 스티바 0.025%를 1일 1회 도포했어요. 이소티논 복용 2개월 정도 후부터 얼굴에 가려운 발진들이 생겼다가 가라앉더라고요. 근데 그냥 계속 먹었어요. 여드름이 많았거든요. 그리고 여드름이 줄어들고 이소티논에서 스티바 연고로 약을 바꿨는데도 가려운 발진이 계속 올라왔어요. 병원에서는 이게 피부장벽 약화로 인해 민감해져서 발진이 생기는거래요. 지금은 이소티논과 스티바연고를 중단한 지 2달 정도 되었거든요. 체감상 약을 중단한 이후부터 가려운 발진이 엄청 심해졌다가 지금도 발진이 있긴 있는데 언제 피부장벽이 회복될 지 모르겠네요. 의사는 2~3달은 걸릴거라고 하면서 프론드정, 히스티온정을 처방해줬거든요. 결론은 1. 이소티논, 스티바 중단 후 발진이 갑자기 악화될 수 있는지? 2. 이소티논, 스티바를 오래 사용한 만큼 피부장벽 회복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는지? 3. 이소티논, 스티바 사용 전에는 이런 발진이 없었는데 회복될지?
얼굴에 피부장벽이 회복되는 기간 동안 발진이 더 심해지다가 좋아지는 경우도 있나요? 이소티논이랑 스티바 연고를 끊으니 가려움과 발진이 더 올라와서요.
이소티논과 스티바 사용으로 피부장벽이 약해지고 가려운 발진들이 수시로 올라올 수 있나요? 그렇다면 약을 중단하고 피부장벽의 회복까지 기다리는게 맞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