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임약 복용 중 부정출혈이 발생하고 예정된 생리가 없는 경우,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어요. 피임약을 복용하는 동안 호르몬 수준의 변화로 인해 부정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피임약의 종류를 변경했을 때도 몸이 새로운 호르몬 조절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부정출혈이나 생리 불규칙이 나타날 수 있어요.
임신 테스트기의 결과가 변동이 있었지만, 피검사 결과 비임신으로 확인되었다면 임신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피검사는 매우 정확한 임신 진단 방법 중 하나이므로, 결과를 신뢰하셔도 좋아요.
생리가 없는 다른 가능한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체중 변화, 운동량 변화, 수면 패턴의 변화, 특정 약물 복용, 호르몬 불균형 등이 있을 수 있어요. 만약 부정출혈이 지속되거나 다른 증상이 동반된다면,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검사나 조치를 받는 것이 좋아요. 피임약 복용 후 처음 3개월 동안은 부정출혈이 나타날 수 있어요. 피임약 복용 첫 달에는 복용자의 10~30%가, 셋째 달에는 복용자의 10% 이하가 부정출혈을 경험한다 해요. 부정출혈이 발생했을 때에도 경구피임약을 계속 복용해도 돼요! 하지만 출혈의 양이 많고, 그 기간이 길어진다면 투약을 중지하고 약을 처방 받은 의사,약사와 상의할 필요가 있어요. 복용한 지 5개월 째인데 부정 출혈이 지속된다면 닥터나우 앱 내 '과목 진료' > '산부인과'로 진료 권유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