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실시간 의료 상담 의료진입니다.
경구피임약 복용 중 출혈 양상으로 인하여 걱정이 되시는 상황인 것 같아요.
우선, 경구피임약을 복용하는 동안에도 예기치 않게 부정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먼저 말씀드리고 싶어요. 특히 스트레스, 수면 부족, 피로, 체중 변화, 다른 약물 복용, 혹은 산부인과에서 처방받은 좌약이나 항생제 등은 일시적으로 호르몬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이런 변화로 인해 갑자기 출혈이 생길 수 있으니 너무 놀라지 않으셔도 괜찮아요.
이번에 산부인과 진료 후 좌약을 사용하고, 추가로 약을 하루 복용하셨다고 하셨는데, 이런 약물이나 치료가 자궁이나 질 점막에 자극을 주어 일시적으로 출혈이 생길 수 있어요. 좌약이나 항생제, 혹은 소독 과정에서 점막이 약간 손상되거나, 호르몬 변화가 일어나 부정출혈이 나타날 수 있답니다. 대부분 이런 출혈은 심각한 문제가 아니고, 며칠 내로 자연스럽게 멈추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어요.
피임약 복용 중간에 출혈이 생기면, 많은 분들이 “생리인가, 부정출혈인가?” 헷갈려 하세요. 피임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고 있다면, 복용 중간에 생기는 출혈은 대부분 부정출혈로 볼 수 있어요.
피임약을 중단했을 때 2~3일 내에 나타나는 출혈은 소퇴성 출혈(생리와 비슷한 출혈)로 구분할 수 있어요.
부정출혈은 보통 생리보다 양이 적고, 색깔이 연하거나 갈색을 띠기도 해요.
하지만 출혈 양이 많거나, 1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통증, 냄새, 발열 등 다른 증상이 동반된다면, 산부인과로 방문하셔서 검사와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지금처럼 부정출혈이 있을 때 피임약 복용을 중단하면 오히려 호르몬 변화로 인해 더 많은 출혈이 발생할 수 있고, 피임 효과도 떨어질 수 있어요. 피임 목적이라면 남아 있는 약을 끝까지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에요. 약을 다 복용한 후 7일 휴약기에 자연스럽게 출혈이 나타날 거예요. 대부분의 부정출혈은 약을 계속 복용하면 며칠 내로 멈추고, 몸이 다시 호르몬에 적응하면서 정상적으로 돌아온다고 볼 수 있어요.
출혈이 언제 멈출지는 개인차가 있지만, 보통 3~7일 이내에 멈추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어요.
출혈 양이 점점 줄어들고, 다른 증상이 없다면 큰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을 것 같아요.
다만, 출혈이 계속되거나, 양이 많아지거나, 몸에 불편한 증상이 생기면, 산부인과로 방문하셔서 검사와 진료를 통해 상태를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 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