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 피임약 복용 후 임테기 시기
응급 피임약을 4월 24일 수요일에 복용했는데 임테기를 언제 하면 좋을까요..?
응급 피임약을 4월 24일 수요일에 복용했는데 임테기를 언제 하면 좋을까요..?
응급 피임약을 복용한 후에는 일반적으로 생리 주기에 변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응급 피임약 복용 후 임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임신테스트는 성관계 후 약 2주가 지난 시점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4월 24일에 응급 피임약을 복용하셨다면, 가장 이른 시기로는 5월 8일경에 임신테스트를 해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임신테스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생리 예정일이 지난 후 첫 소변을 이용하여 테스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생리가 예정대로 오지 않는다면, 생리 예정일로부터 일주일 후에 아침 첫 소변을 사용하여 임신테스트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불안감이 크시다면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혈액 검사를 시행하시는 것을 권유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응급 피임약 복용후 다음 생리 시기
성관계 도중 질내사정 후 24시간 이내에 응급피임약 ‘노레보’를 복용했습니다. 응급피임약은 배란을 늦추어 피임을 하는 방법이라고 알고 있고, 특히 노레보 약은 배란을 늦추는데 초점이 맞춰진 약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성관계를 가진 시기가 배란기, 혹은 배란기 1-2일 후였습니다. 이 시기에 성관계 후 응급피임약 ‘노레보’를 복용해도 효과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12월 6일이 마지막 생리날이었고, 주기는 36일로 긴 편이고 어플 캘린더에 잘 맞는 편입니다. 13일 자정 넘어가는 시기에 피임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정액이 새어들어간 것 같기도 하다는 의심이 있습니다. 오늘 아침 산부인과 내원하니 의사선생님은 곧바로 의심 자체가 있으면 응급피임약을 먹으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제가 작년 봄에 응급피임약을 한번 먹은 적이 있기도 하고, 캘린더 상으로 아직 배란기가 일주일 정도 남아서 초음파를 요청했습니다. 초음파로 보시더니 아직 성숙난자가 없어서 배란이 한참 남았다 하시는데, 돌발배란도 1센치 정도의 난자가 보여야 하는데 그마저도 보이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정자가 질 속에서 3-5일 정도 산다고 들었는데 이게 맞는지, 그리고 임신 가능성에 대해 안심해도 되는지, 임테기를 한다면 언제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