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실시간 의료 상담 의료진입니다.
불규칙한 생리 주기로 경구 피임약 복용 중 부정 출혈이 생겨 걱정이 되셨던 것 같아요.
우선, 경구피임약 복용 후 처음 3개월 동안은 부정출혈이 나타날 수 있답니다. 피임약 복용 첫 달에는 복용자의 10~30%가, 셋째 달에는 복용자의 10% 이하가 부정출혈을 경험한다고 해요.
부정출혈이 발생했을 때에도 경구피임약을 계속 복용해도 되지만, 경과를 지켜보면서 그 출혈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많고, 지속적이라면 변경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추가적으로 경구 피임약 복용 중 휴약기에는 소퇴성 출혈이 보여지게 되는데요. 이는 약물에 의한 호르몬 수준의 변화로 인해 자궁 내막이 벗겨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이때 덩어리진 분비물이 나타나는 것은 우리 몸에서 출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가 굳어지는 성분을 만들어내면서 자궁 내 찌꺼기와 함께 점막 조직 등이 탈락되면ㅇ서 덩어리 혈이 나타날 수 있답니다. 개인마다 자궁 내막의 상태에 따라서 덩어리의 크기, 양상, 질감은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도해요.
다만 부정출혈 뿐만 아니라 조절되지 않는 복통이 반복되는 경우, 생리혈 덩어리가 많아지는 경우라면 자궁 근종, 자궁 내막증 등의 질환 감별을 위해 산부인과 검진을 받아보실 것을 권해드려요:)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