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달 수치 상승, 건강에 문제 있나요?
몇달간 속쓰림, 울렁거림등으로 몸이 안좋아서 내시경검사,초음파도 큰 문제는 없었고 3달전인 1월달에 피검사 했는데 황달수치 1.21이 나왔어요. 올해 건강검진 받는 년도이고 몸이 아직 좋아지지 않아서 어제 건강검진 했고 피검사에서 황달수치가 1.73로 나왔어요. 저번보다 올랐다보니 추적요하다는데 많이 안좋은건가요?
몇달간 속쓰림, 울렁거림등으로 몸이 안좋아서 내시경검사,초음파도 큰 문제는 없었고 3달전인 1월달에 피검사 했는데 황달수치 1.21이 나왔어요. 올해 건강검진 받는 년도이고 몸이 아직 좋아지지 않아서 어제 건강검진 했고 피검사에서 황달수치가 1.73로 나왔어요. 저번보다 올랐다보니 추적요하다는데 많이 안좋은건가요?
AD
황달 수치(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한 것은 간 기능이나 담도계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총 빌리루빈 수치가 1.2mg/dL 이하를 정상 범위로 간주하며, 1.21에서 1.73으로 상승한 것은 주목할 만한 변화입니다. 하지만 이 수치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내시경 검사와 초음파에서 큰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하셨지만, 황달 수치가 상승하고 속쓰림, 울렁거림 등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간 기능 검사(ALT, AST, ALP 등), 간염 바이러스 검사, 그리고 필요시 CT나 MRI 같은 정밀 영상 검사를 통해 원인을 더 자세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성 간염의 경우, C형 간염은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를 8~16주 정도 사용하여 치료하며, B형 간염은 바이러스 활성도에 따라 경구 항바이러스제나 페그인터페론 주사제를 사용해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염 여부도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황달 수치가 상승했다고 해서 반드시 심각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간 질환, 담도 폐쇄, 용혈성 질환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하여 추가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증상이 지속되고 있으니 빠른 시일 내에 소화기내과나 간 전문의를 찾아가셔서 상담을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