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성 안와염증에 생물학적 제제 사용 가능?
특발성 안와염증 치료중인 환자입니다. 가장 보편적.대증적 치료인 스테로이드 요법이 듣지 않을 경우(2주차인데 효과없음)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처럼 생물학적 제제로의 치료도 의사의 재량에 따라 시도해 볼 수 있나요?
특발성 안와염증 치료중인 환자입니다. 가장 보편적.대증적 치료인 스테로이드 요법이 듣지 않을 경우(2주차인데 효과없음)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처럼 생물학적 제제로의 치료도 의사의 재량에 따라 시도해 볼 수 있나요?
특발성 안와염증(Idiopathic Orbital Inflammation, IOI)은 스테로이드 요법이 1차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스테로이드 요법이 효과가 없을 경우, 추가적인 치료 옵션을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요법이 듣지 않을 경우,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치료 옵션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1. 면역억제제: 메토트렉세이트, 아자티오프린, 또는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와 같은 약물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2. 생물학적 제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리툭시맙(Rituximab)이나 항-TNF 제제(예: 인플릭시맙) 등이 일부 사례에서 사용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와 면역억제제 치료에 실패한 경우에 고려됩니다. 3. 방사선 치료: 드물게 사용되지만, 스테로이드와 면역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 제제는 비용이 높고 부작용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 여부는 환자의 상태, 기존 치료 반응, 그리고 다른 기저 질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담당 의사와 충분히 상의하시고, 필요하다면 안과 및 류마티스내과 전문의와 협진을 통해 최적의 치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모니터링을 통해 치료 방향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류마티스 질환으로 휴미라 맞고있는데 생리미루기 목적으로 경구피임약 먹어도 될까요? 담당의 선생님이 휴가라 몇주 뒤에 답변가능하다고 해서요 ㅠㅠ 급해요! 만약 먹으면 뭘 먹어야 할까요?
2월 13일에 탈츠 주사 2방을 맞고 4일차가 되었는데 아직은 효과가 없는데 다이보베트 연고를 같이 발라야하는지요?
건선 생물학적제제 스카이리치를 맞은지 2일차인데 코피가 갑자기 많이납니다 코피를 잘 흘리지 않아 3-5년에 한번 흘릴까 말까인데 오늘 아침부터 갑자기 주르륵하고 흘러내리는게 벌써 세번째네요… 혹시나 부작용 중 하나인가 싶어 아무리 찾아봐도 사례는 나오지 않아 걱정되어 질문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