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실시간 의료 상담 의료진입니다.
추가적으로 문의주신 사항에 대해 답변드릴게요:)
-
경구피임약 복용을 중단하면 일반적으로 2~7일 사이에 소퇴성 출혈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대부분 휴약기 내 보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약물에 의한 호르몬 수준의 변화로 인해 자궁 내막이 벗겨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단, 생리나 출혈 양상만으로 피임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순 없습니다. 시기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이에요.
-
경구 피임약 복용을 유지하고 있을 때에만 호르몬 농도가 유지되어 배란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복용 중단과 함께 피임 효과가 감소되어 배란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는 경구피임약을 3팩 이상 지속적으로 복용하고 있다며 휴약기에도 피임효과는 유지된다고 알려져 있어요. 그만큼 호르몬 농도가 안정적이기 때문이라는거죠. 만약 첫 팩 휴약기라면 피임 효과가 무조건 높게 유지된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만약 이러한 상황에 대해 우려가 크시다면 경구 피임약 외 콘돔 등의 이중 피임방법을 고려하시길 권유드려요.
-
휴약기 내,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고 있는 주기 내에 관계가 이루어진 상황이라면 어느정도 피임 효과는 유지되기 때문에 임신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어요. 다음 팩 복용 여부와 관계 없이 가임력이 있는 여성이라면 어떠한 상황에서도 임신 가능성은 0% 라고 보기 어려우며, 모든 피임법이 100% 피임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점도 염두해 두셔야해요.
휴약기나 생리 주기를 계산해서 관계를 가지는 것은 올바른 피임 방법은 아니기도 합니다.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