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기 사구체 여과율 증가로 요당 생기나요?
임신기 혈류량이 증가함에 따라 신혈류량이 증가하며 사구체 여과율이 증가하여 포도당 배출 증가로 임신기 요당이 생길 수 있다고 하는데요. 사구체 여과율이 증가하면 여과를 더 많이 하니 포도당 배출이 줄어들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임신기 혈류량이 증가함에 따라 신혈류량이 증가하며 사구체 여과율이 증가하여 포도당 배출 증가로 임신기 요당이 생길 수 있다고 하는데요. 사구체 여과율이 증가하면 여과를 더 많이 하니 포도당 배출이 줄어들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임신 중에는 신체의 여러 변화가 일어나며, 그 중 하나가 신장 기능의 변화입니다. 임신 중에는 혈류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신장으로의 혈류량도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이 증가하게 되는데요, 이는 신장에서 여과되는 혈액의 양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구체 여과율이 증가하면 신장에서 여과되는 물질의 양도 많아지게 됩니다. 정상적으로 신장은 여과된 포도당을 다시 흡수하여 혈액으로 되돌려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임신 중에는 사구체 여과율이 증가하여 여과되는 포도당의 양이 많아지고, 신장의 재흡수 능력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 이때 포도당이 소변으로 배출되어 임신기 요당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즉, 사구체 여과율이 증가한다고 해서 포도당 배출이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재흡수하는 신장의 능력을 초과할 정도로 많은 양의 포도당이 여과되어 소변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는 임신 중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대부분의 경우 임신이 끝나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그러나 임신 중에 요당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임신성 당뇨를 의심해 볼 수 있으므로, 적절한 검사와 의료진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혈당이 180mg/dL 정도되면 소변에서 당이 나오게 돼요. 그리고 혈당이 더 높은 경우 당과 함께 수분의 배설이 많아져요. 하지만 육안으로 구분하기 힘드며 반드시 모든 당뇨인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니 정확한 검사는 병원에서 하시는 것을 권해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크레아티닌 수치로 보는 사구체 여과율 과 시스타틴C 수치로 보는 사구체 여과율 어느것이 더 정확한가요?
22세 남자입니다 건강검진을 받았는데 다른건 다 정상인데 혈청 크레아티닌이 1.26에 신사구체여과율이 72.24가 나왔습니다 신장에 이상이 있을수도 있다는데 질문드립니다 다른 기능은 다 정상이고요 체지방적고 당뇨 없습니다 근데 단백질 보충제 복용중이고 이소티논과 영양제를 먹고있는데 이런 이유로 신장기능이 낮아질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물을 많이마시면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다름이아니오라. 단백질 8.1 알부민 5.4 [5.2 기준] 그리고 크레아틴 1.12 입니다 ckd기준 83입니다 문제는 알부민 수치가 5.4로 높고, 그리고 신사구체여과율이 낮다는 점입니다. 크레아틴의 수치는 정상범위인데, 사구체여과율이 83입니다. 6월달에도 사구체 여과율이 85였습니다 그런데 두 달 후에 검사를 하니 83입니다 단백뇨나 혈뇨등은 없습니다 사구체여과율이 괜찮은지요? 그리고 두 달에 사구체여과율이 2정도 내려갔는데 문제가 있는건지요.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