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CA 유전자와 CA19-9 수치, 암 확률은?
브라카 유전자 갖고있습니다 흡연을 6개월간 했구요 Ca19-9 수치가 2년간 64 50 54 로 나왔습니다 암일 확률 높은가요?
브라카 유전자 갖고있습니다 흡연을 6개월간 했구요 Ca19-9 수치가 2년간 64 50 54 로 나왔습니다 암일 확률 높은가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BRCA 유전자 보유자로서 흡연을 6개월간 하였는데, CA19-9 수치 관련하여 암 확률이 높은지 문의를 주셨네요. 문의주신 내용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CA19-9 수치를 적어주셨는데요. CA19-9는 주로 췌장암, 담도암, 대장암 등 소화기암에서 상승하는 종양표지자에요. CA19-9dml 정상 수치는 37U/ml이하로 현재 2년간 64, 50, 54로 측정되었다면 정상 범위보다 약간 상승되어 있는 상태네요. 걱정이 많이 되셨을 것 같아요. 다만, CA19-9는 암이 없어도 높을 수 있는 지표예요. 만성 담관염, 췌장염, 담낭용종, 담석증, 지방간, 간염과 같은 간 질환, 위염, 장염 등 소화기 염증과 흡연에 의해 CA 19-9 수치가 약간 상승될 수 있어요. 따라서, 흡연자 시라면 CA 19-9 수치가 일시적으로 오를 수 있지만, 6개월간 흡연하셨다는 것으로 보아 2년간 지속적으로 높았다면, 다른 원인에 의해 높아진 것은 아닐까 추가 검사를 해서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특히 흡연은 BRCA 변이와 함께 있을 경우 암의 위험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현재 흡연을 하신다면 금연을 하시는 것이 좋아요. BRCA 유전자를 갖고 있다고 적어주셨는데요. 해당 유전는 주로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췌장암의 위험을 높여요. 하지만 질문자님의 수치는 50~60대에서 유지 중이며, 큰 변동은 없는 상태이므로 추적관찰에서 해당 수치가 유지되고, 별다른 동반 증상이 없었다면 암 확률은 높지 않아보여요. 혹시 복부 불편감이나 소화 문제, 체중 변화 같은 증상은 없으신가요? 해당 결과만으로 암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려우며, 복부초음파 또는 CT, MRI 검사와 같이 영상 검사를 통해 특정 질환이 있어 CA 19-9 수치가 올라간 것은 아닐지 확인이 필요할 것 같아요. 이미 이전에 검사했고, 특별한 병변이나 증상이 없었다면 걱정을 조금 내려놓으셔도 좋을 것 같아요. 혹시라도 소화기 증상 등이 동반된다면 다시 소화기 내과를 찾아 의사와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아요.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아래, 추천해 드리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세요! '◡'❀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무서운 췌장암. 췌장암의 모든 것에 대해 정리해왔어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1.4촌관계 친척이 BRCA변이로 인한 암인경우 저는 BRCA 변이가 없는 사람들과 난소암 평생 발병 확률이 동일한가요? 높은가요?낮은가요? 다른 요인 배제하고 딱 저 4촌 관계 친척의 BRCA 변이 유전만 고려한다면요 2.왜 4촌 관계에서는 BRCA 유전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나요? 3.4촌 관계에서는 BRCA 유전이 이론상으로는 가능하나 실제로는 발생하지 않죠? 4.4촌관계 친척의 BRCA유전자 변이는 제게 유전되지 않는거죠? 5.4촌관계 친척의 BRCA유전자 변이는 제 암 발병확률에 영향을 주나요? 6.4촌관계 친척 한 명만 암이 있고 그 외에 친가 외가 다 털어도 4촌 이내에 암 환자분은 없다면 암 가족력이 있다고 보나요? 없다고 보나요? 7.4촌 관계 친척의 BRCA 변이가 제게 유전될 확률은 신경 안 써도 되죠? 8.BRCA 변이의 경우 4촌 관계부터는 따로 유전자 검사를 받지 않아도 되죠? 9.4촌 관계부터는 BRCA변이의 유전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나요?
1. 3차 관계에 해당하더라도 촌수가 4촌인 분의 BRCA 유전자 변이는 제 유전자 변이에 영향을 주지 않나요? 2.촌수로는 4촌인데 암 가족력 범위에서는 3차관계에 해당하는 분이 BRCA 변이가 제게 유전될 확률은 얼마나 낮나요? 매우 낮나요? 희박한가요? 3.4촌의 BRCA 변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저는 BRCA변이만 고려했을때 BRCA 변이가 없는 사람들과 난소암 발병확률이 동일하다고 하셨는데 진짜인가요? 암 가족력 범위로는 3차관계에 해당하더라도 그런가요? 4.4촌이 암 가족력 파악을 위한 조사범위에는 3차관계로 포함되지만 BRCA 변이 유전 검사에서는 제외되는 이유가 뭔가요? 5.3차 관계에 해당하더라도 촌수가 4촌인 분의 BRCA 유전자 변이가 제게 유전될 확률은 일반적으로 고려하지 않나요? 6.BRCA 변이 검사 대상인 2촌에 이모가 들어간다고 하셨는데 이모가 촌수로는 3촌이고 가족력 범위로는 2차관계거든요 BRCA변이 검사 기준은 2차관계인가요?촌수인 2촌인가요?
1.BRCA1 또는 BRCA2 유전자 변이는 어떻게 생기는건가요? 유전이 없어도 갑자기 변이 돼서 생기나요? 2.저희 외가 친가 여성 친척들, 조부모님들 탈탈 털어도 난소암,자궁암,유방암 같은 여성암 환자는 전혀 없고 암 환자 자체가 없는데 이정도면 BRCA1 또는 BRCA2 유전자 변이는 없다고 봐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