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것도 먼 것도 흐릿하게 보이는 원인은?
가까운걸봐도 흐릿해보이고(초점이 안맞는느낌) 먼걸보면 더흐릿하게보이고해서 안경도수도 바꿨는데 그대로에요.. 눈이 되게뻑뻑하고 또렷하게안보이는데 원인이무엇일싸요
가까운걸봐도 흐릿해보이고(초점이 안맞는느낌) 먼걸보면 더흐릿하게보이고해서 안경도수도 바꿨는데 그대로에요.. 눈이 되게뻑뻑하고 또렷하게안보이는데 원인이무엇일싸요
AD
가까운 것도 먼 것도 흐릿하게 보이고, 안경 도수를 바꿨음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 몇 가지 원인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첫째, 안구건조증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은 눈물 층의 항상성이 상실되어 다양한 안구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눈이 뻑뻑하고 시야가 흐릿하게 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눈이 건조하여 뿌옇게 보이는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하다면 안과 검진이 필요합니다.
둘째, 조절 이상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눈의 초점을 맞추는 능력이 약해지거나 과도하게 긴장된 경우, 가까운 곳과 먼 곳 모두 흐릿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 장시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눈의 피로를 줄이는 환경 개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셋째, 굴절 이상이 제대로 교정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안경 도수를 바꿨음에도 불구하고 시야가 흐릿하다면, 난시와 같은 굴절 이상이 정확히 교정되지 않았거나, 안경 도수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안경점에서 시력 검사를 다시 받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넷째, 백내장 또는 기타 안과 질환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나이에 따라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 등과 같은 안과 질환이 시야 흐림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시야가 흐릿해지는 증상이 지속된다면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전신 질환도 원인일 수 있습니다. 당뇨병, 고혈압 등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시야가 흐릿해질 수 있으므로, 관련 질환이 의심된다면 내과적인 검진도 고려해야 합니다.
우선적으로 가까운 안과를 방문하여 정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안구건조증이 의심된다면 인공눈물 사용이나 환경 개선(가습기 사용, 화면 사용 시간 줄이기 등)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시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크거나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빠른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약을 처방받아 먹었는데 먹기전엔 그정도는 아니였는데 먹고난 후 골반부분이 몸살오듯 아프고 온몸이 힘이 없고 머리가 어지러운데 약이 너무 독해서 그럴까요? 눈도 가까운건 보이는데 조금 먼것도 보이던게 살짝 흐릿하면서 침침하고요
노안이 오면 근시가 좋아지고 가까운 게 안보이는 게 아니라 근시는 그대로 있고 가까운 것도 안보이는 게 맞는 지 궁금합니다
시력이 더 떨어진것같고 가까이 있는것도 안보이는데 검사를 해야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