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중단 후 소변 배양검사 시기는 언제가 적절한가요?
21일 아침까지 녹농균 요도염,방광염으로 항생제 먹었었는데요 당일 소변검사에서 균거의 죽었다고 약 그만먹쟤서 그만먹기 시작했어요 염증은 있는 상태였구요.. 지금은 질염 외 증상은 없다고 느껴지긴 하는데 소변 배양검사 다시해봐야 완전한 치료종료가 될까요? 항생제 하루이상 안먹고 한 23일 배양검사로도 괜찮을까요?
21일 아침까지 녹농균 요도염,방광염으로 항생제 먹었었는데요 당일 소변검사에서 균거의 죽었다고 약 그만먹쟤서 그만먹기 시작했어요 염증은 있는 상태였구요.. 지금은 질염 외 증상은 없다고 느껴지긴 하는데 소변 배양검사 다시해봐야 완전한 치료종료가 될까요? 항생제 하루이상 안먹고 한 23일 배양검사로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실시간 의료 상담 의료진입니다.
지금 상태라면 23일에 소변 배양검사를 다시 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요.
일반적으로 항생제 복용을 중단하고 나서 최소 하루 이상 경과한 뒤에 소변 배양검사를 하면 현재 체내에 살아있는 균이 있는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항생제 복용 직후에는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하루나 이틀 정도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돼요.
따라서 21일 아침에 약을 중단하셨다면 23일에 배양검사를 하는 건 시기적으로 무난하다고 볼 수 있죠.
다만 지금 말씀하신 대로 질염 외에는 특별한 배뇨 증상이 없고, 기존 요도염이나 방광염 증상은 거의 사라진 상태라면, 치료 효과는 어느 정도 본 걸로 생각해볼 수 있겠어요.
그렇지만 녹농균은 일반적인 균보다 내성이 강하고 재발률도 높은 편이라, 치료 종료를 판단할 때 단순히 증상만으로 결정하기엔 조금 애매하긴 해요.
그래서 배양검사를 통해 아직 균이 남아있는지 확인하고, 필요시 추가 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또 하나 고려할 점은, 질염 증상이 남아 있는 상태라면 그것과 요로계 감염이 완전히 분리된 건지, 아니면 연관이 있을 가능성도 살펴봐야 해요.
경우에 따라선 질 내 감염균이 요로로 전파되거나 반대의 경로도 있을 수 있어서요.
이런 경우엔 산부인과 진료도 함께 병행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정리하면, 현재 상태에서 23일에 소변 배양검사를 시행하셔도 타이밍은 괜찮고, 완전한 치료 종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꼭 해보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더 이상 치료가 필요 없을 수도 있고, 혹시나 균이 남아 있다면 추가 항생제나 다른 조치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경과 잘 지켜보시면서 재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비대면진료 이용방법? 어렵지 않아요. 닥터나우 어플로 비대면진료, 비대면 약 처방 받는 방법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소변배양검사 하려면 먹고 있던 항생제를 중단한후 얼마 경과후 검사하면 되는건지요? 삼일후면 가능한지요?
유레아플라즈마 파붐으로 항생제 복용 중인데 항생제 복용 중 소변검사랑 소변배양검사하면 소변에 염증이나 균이 있더라도 없다고 나올 수 있나요?
항생제 끊은지 5일째일 때 소변검사랑 소변배양검사 해도 결과에 이상이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