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에서 매독균 발견
오래전 매독에 걸리셔서 40~50년 경과 후 혈액에서 매독균 양성이 나왔어도 매독균이 뇌신경이나 심혈관 등 다른 신체 부위에서 활동하여 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나요?
오래전 매독에 걸리셔서 40~50년 경과 후 혈액에서 매독균 양성이 나왔어도 매독균이 뇌신경이나 심혈관 등 다른 신체 부위에서 활동하여 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조기매독의 경우에는 1년 이내의 잠복매독이 존재하며, 후기매독은 1년 이상의 잠복기간이나 잠목기간을 알 수 없는 매독을 뜻하는데요, 매독 발현 후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근육, 뼈, 관절, 신경계, 심혈관 등 다른 신체 부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요. 무료상담 서비스는 조언의 역할이기 때문에 병명을 진단할 수 없는 점 양해 부탁드려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86세 시어머님께서 과거에 매독을 앓으셨었는데 얼마전 담석 수술을 하시고 혈액 검사에서 매독균이 발견되었는데 치료가 시급한걸까요? 과거에 매독에 걸리셨던 흔적이 있다는 얘기를 건강검진결과로 오래전에 들은적이 있습니다. 현재 시골에 혼자 계시고 , 옛날에 걸리셔서 그냥 있는줄 알고 대수롭지 않게 여겨 두 달 후로 검사예약을 하였는데 빨리 검사와 치료를 해야하는 위급한 상황일까요? 어머님은 다른 증상은 없으시고 평상시 그러시듯 입맛이 없고 소화가 잘 안된다 하셔서 담석약과 함께 소화제를 처방받으셨습니다. 심하시진 않아 생활은 활력있으시구요.
안녕하세요 애보트 매독자가검진키트 fast 3.0 사용중에 채혈된 손가락을 스트립하단에 접촉했습니다. 설명서를 읽어보니 스트립에 유전자재조합 매독균 항원이 코팅되어있다고 기재되어있습니다. 그럼 제가 채혈한 손가락 즉,,상처난 손가락에 유전자재조합 매독균 항원이 접촉 되었다는건데,,, 이런경우 매독에 감염될 수 있나요??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1. 유전자재조합 매독균 항원이 매독균을 의마하나요? 2. 스트립에 코팅되어있는 유전자재조합 매독균 항원이 상처에 노출되면 감염 위험이 있나요? 아니면 아얘 전혀~~문제가 없는건가요?? 검사후 실수로 접촉을 하고 설명서 읽고나서 심한 포비아가 와서 너무 걱정됩니다.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헤르페스는 아니라구 하고 매독균 검출도 아니라 하시는데 무슨 성병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