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유무에 따라 감염 확률이 다른가요?
증상이 있는 보균자와 없는 보균자와 관계를 했을 때 각각 감염 확률은 정확히%인가요? 사이트 마다 정보다 달라서 헷갈립니다 그리고 무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흔한가요?
증상이 있는 보균자와 없는 보균자와 관계를 했을 때 각각 감염 확률은 정확히%인가요? 사이트 마다 정보다 달라서 헷갈립니다 그리고 무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흔한가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실시간 의료 상담 의료진입니다.
헤르페스 감염 확률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요.
관련하여 문의주신 내용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헤르페스 감염 확률은 실제로 연구마다 수치가 조금씩 다를 수 있어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요.
증상이 있는 보균자와 없는 보균자와 관계를 했을 때 각각 감염 확률은 정확히%인지 문의를 주셨네요.
관계 시 감염 확률을 문의하신 것으로 보아 헤르페스 2형 감염에 대해 문의를 주신 것 같아요.
헤르페스 감염은 증상이 있는 헤르페스 보균자와 관계 시, 즉 피부에 수포나 궤양 등 증상이 보이는 시기에는 감염 위험이 가장 높아요. 활동기 중 직접적인 피부 접촉이 있으면 매우 높은 전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해요.
연간 감염 확률로 보면 약 20% 정도로 알려져 있어요. 즉, 1년간 증상이 있는 파트너와 정기적으로 성관계를 가질 경우, 5명 중 1명꼴로 감염될 수 있다는 의미로 보시면 돼요.
헤르페스 보균자가 증상이 없을 때는 감염력이 비교적 낮지만 '무증상 바이러스 배출’이라는 현상이 있어 전염이 가능해요.
연구에 따르면 남성이 여성에게 무증상 상태에서 감염시킬 확률은 약 10% 내외, 여성이 남성에게는 그보다 조금 낮은 4~8% 정도로 연구 결과가 있어요. 다만, 이 수치는 연 1년 동안 정기적인 성관계를 가졌을 때의 누적 위험이며, 관계 1회당 전염률은 1% 이하로 추정되는 경우가 많아요.
헤르페스 감염자는 대부분 무증상 또는 자신도 인지하지 못한 경미한 증상만 경험하는 경우가 흔하다고 해요.
따라서 무증상 상태에서도 전염은 가능해요.
정리해보자면 증상이 있을 때 감염 위험이 가장 높지만, 증상이 없을 때도 감염이 충분히 가능해요. 또 실제로 무증상 전파가 매우 흔하다고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콘돔 사용, 항바이러스제 복용, 활동기 회피 등을 통해 감염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으므로 걱정이 되신다면 꼭 콘돔을 착용하여 관계를 하시면 불안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여요.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헤르페스, 이름은 들어봤지만 1형과 2형의 정확한 차이를 잘 모른다면 클릭해 보세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코감기의 잠복기는 감염 경로에따라 기간이 다른가요?
가드넬라균이 1년넘게 성관계를 한 적이 없는 사람한테서도 검출 될 수 도 있는건가요? 그리고 그렇게 오랫동안 무증상일 수 있나요? 증상이 나타나기전 약물치료를 받는편이 나은건지 증상이 생기면 치료 받아야 되는건지 궁금해요
오라퀵 검사의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Hiv바이러스는 혈액으로 감염된다고 하던데 오라퀵은 침속에 바이러스 유무를 검사하는거 아닌가요? 그럼 키스행위로도 감염될수 있다는 의미인데 상처가 없는 두사람이 키스로 감염될 확률은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침속에 바이러스가 있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