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 피임약 복용 후 10일 b-HCG 검사 결과, 안전한 비임신 수치는?
사후 피임약 먹고 10일 지나서 혈액 검사란 결과가 b-HCG<0.2로 나와 비임신이라는데 어느정도의 수치 인건가요 확실히 안전한건가요
사후 피임약 먹고 10일 지나서 혈액 검사란 결과가 b-HCG<0.2로 나와 비임신이라는데 어느정도의 수치 인건가요 확실히 안전한건가요
사후 피임약 복용 후 10일이 지난 시점에서의 베타-hCG (b-HCG) 수치가 0.2 mIU/mL 미만이라면, 이는 일반적으로 비임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보여요. 임신이 되었다면, b-HCG 수치는 임신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임신 10일 후에는 대개 더 높은 수치를 보이게 됩니다. 그러나 b-HCG 수치는 여러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 수치만으로 임신 여부를 100% 확신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 임신 가능성에 대해 걱정이 되신다면, 몇 일 후에 다시 b-HCG 검사를 받거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검사나 조치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사후 피임약 복용 후 원래 생리 일자가 10일 정도가 지났는데 생리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1차 관계 후 사후 피임약 복용 > 얼리 임테기 비임신, 14일 이후 검사 결과 비임신으로 나왔습니다. 2차 관계 후 14일 일반 임테기 결과 비임신 나왔습니다. 사후피임약 복용 후 생리가 10일 이상 지연 될 수 있나요? 경우에 따라 한 달 이상(생리 지연 약 30일) 지연될 수 있나요?
생리 끝난지 3일후에 관계 했는데 질외사정해서 24시간내에 사후 피임약 복용했습니다 산부인과에 가니 안전한 날이 라고도 하셨지만 불안한 마음에 복용 했었어요 임신 가능성 있을까요
사후피임약(노레보원)을 관계 후 20시간만에 복용하였고 관계 후 12일 뒤에 b-hcg 피검사를 했을 때 수치가 5.00으로 나왔습니다. 혹시 착상이 늦어져서 나중에 수치가 오를 가능성도 있나요? 이 결과를 그대로 신뢰해도 되는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