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심실중격결손 수명
선천적 심실중격결손이 30대가 다 돼서도 치료되지 않았습니다. 크기는 잘 모르겠는데 가슴팍에 귀를 대면 깔끔한 박동이 아닌, 짜는 듯한 심잡음이 잘 들립니다. 이런 사람은 기대수명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은가요? 예방하거나 경계해야할 행위, 병은 무엇이 있나요?
선천적 심실중격결손이 30대가 다 돼서도 치료되지 않았습니다. 크기는 잘 모르겠는데 가슴팍에 귀를 대면 깔끔한 박동이 아닌, 짜는 듯한 심잡음이 잘 들립니다. 이런 사람은 기대수명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은가요? 예방하거나 경계해야할 행위, 병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치료를 받지 않으면 더 큰 결손이 있는 소아들은 또한 재발성 폐렴 및 결국 영구적이 되는 폐 혈관의 압력 증가(폐고혈압)를 경험한다고 하나 이를 진단받고 치료를 시행하는 상황이라면 수명이 단축된다는 등의 부정적 예후만을 단정할 순 없어요. 심실 중격 결손의 수술 성공률은 나이나 체중과 무관하게 거의 100%에 가깝다고 하며 적절한 시기에 수술하면 수술 후 장기간에 걸쳐서 관찰하더라도 특별한 후유증은 거의 없다고 해요. 완쾌가 가능한 선천성 심장병이나 다음의 합병증은 주기적으로 관찰해주시길 권유드려요 [참고] ① 폐렴,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감염 ② 말초 폐혈관의 폐쇄가 동반된 심한 폐동맥 고혈압(Eisenmenger reaction) ③ 심내막염 ④ 대동맥 판막 탈출 및 대동맥 판막 폐쇄 부전 : 대혈관 판막 하 결손에서 가장 잘 생깁니다. 그러나 막양부 결손이나 우심실 유출로와 가까운 근성 결손에서도 간혹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대동맥 판막 합병증은 동양인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⑤ 간혹 결손을 막아 주는 동맥류 조직(aneurysmal tissue)이 우심실 쪽에서 자라기 시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조직은 결손을 막으면서 결손을 가로질러 좌심실 쪽으로 자라서, 대동맥 판막 아래에서 막 또는 "군살"같이 자랍니다. 이로 인해 대동맥 판막 하 협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결손 자체가 작아지더라도 반드시 수술해야 합니다. ⑥ 좌심실에서→우심방으로 직접 혈류가 새는 경우 ⑦ 우심실 유출로 협착 도움이 필요하실 땐 언제든 다시 이용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27세고 선천성심실중격결손이 잇는데 항생제 복용 없이 어제 충치치료를 했습니다.. 지금이라도 항생재 복용해야할까요..?
마른 기침이 세 달째 지속되고 있어요 잠에서 깰 정도로 특히 밤에 심합니다 부정맥과 심실중격결손이 있는데 혹시 그와 관련이 있을까요?
분유 2단계로 업하려는데 아기가 심실중격결손이여서 178일인데 6.3kg로예요 6개월에 바로 업하라는 경우랑 8키로부터라는 경우가 있어서 헷갈려요 ㅠㅠ 언제부터 업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