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쌀여드름(면포성 여드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현재 이소티논을 복용 중이시라면 여드름의 심한 염증은 억제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지만, 좁쌀여드름은 여전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가능한 원인과 관리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
피지 분비와 모공 막힘
이소티논은 피지 분비를 억제하지만,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습니다. 피지와 각질이 모공을 막아 좁쌀여드름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피부가 건조해지면 각질이 쌓이기 쉬워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피부 자극
눈두덩이나 볼 같은 부위는 피부가 얇고 민감합니다. 화장품, 클렌징 제품, 또는 자외선 차단제 등이 피부를 자극해 좁쌀여드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호르몬 변화
스테로이드 복용 이력이 있다면, 호르몬 균형이 일시적으로 깨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현재는 스테로이드를 복용하지 않더라도, 호르몬 변화가 여드름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외부 환경 요인
피부과에서 언급한 것처럼 날씨 변화, 특히 건조한 계절에는 피부 장벽이 약해져 여드름이 더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
압출로 인한 염증
좁쌀여드름을 압출하면 피부에 자극이 가해져 염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비위생적인 도구나 손으로 압출하면 더 큰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관리 방법
-
피부 보습
건조한 피부는 각질이 쌓이기 쉬우므로, 저자극 보습제를 사용해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세요.
-
클렌징
과도한 세안은 오히려 피부를 자극할 수 있으니, 순한 클렌저로 하루 2회 정도 세안하세요.
-
화장품 점검
사용 중인 화장품이나 스킨케어 제품이 모공을 막는 성분(코메도제닉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
피부과 재방문
현재 증상이 지속된다면, 피부과를 다시 방문해 추가적인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 시 국소 항생제나 레티노이드 크림 같은 처방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압출 자제
좁쌀여드름은 압출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압출이 필요하다면 반드시 피부과에서 전문적으로 받으세요.
현재 상태가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이소티논 복용량 조정이나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니 담당 의사와 상의하시길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