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실시간 의료 상담 의료진입니다.
추가적으로 문의주신 사항에 대해 답변드릴게요:)
먼저 이유식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크게 시간을 벗어나거나 이유식을 거르는 경우, 아기가 거부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지금처럼 유지하면서 식사를 지속하시면 됩니다.
분유에서 이유식, 고형식으로 넘어갈 때까지 아기의 소화 상태나 배변 양상, 체중 변화 등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아요.
두번째로 잠에 대해서 걱정이 많으신 것 같아요.
아기들의 수면 패턴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결코 쉽지 않을 뿐더러 맘처럼 아기가 잘 따라주기 어려운 경우가 많죠. 또한 아기들은 졸리거나 무언가 욕구가 해결되지 않을 때 소통이 어려워 울음으로 표현할 수 밖에 없어요.
공간 분리 수면은 아기가 이전에 수면 환경이 어떻게 지속되어왔는 지에 따라 성공 유무가 달라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떨어져 있어도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수면 침대나 애착 물건을 만들어주는 것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옆에 있지 않더라도 한 공간에 있다는 사실을 반복적으로 아기에게 인지시켜 주셔야해요.
아기가 보채기 전에 수면 환경을 만들어 분리된 상태에서 아기가 부모 목소리만으로 안정감을 느끼면서 서서히 잠들기를 천천히 시도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단기간 내 수면 패턴이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에요.
아기가 울고 보채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분리 수면을 포기하게 되는 경우도 많지만, 그만큼 부모의 인내와 일관성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꼭 알고계셔야해요.
30분, 1시간 이상을 보채는 경우도 있지만 이런 습관이 반복될수록 아기는 서서히 수면 환경을 받아들일 수도 반대로 거부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아기의 성향에 따라 여러 방법을 시도해보는 것이 가장 좋지만 해당 서비스를 통해서는 자세한 아기의 성향이나 수면 환경, 패턴, 성향을 종합적으로 알긴 어려워 수면 상담을 통해 부모가 아기에게 지속하고자 하는 방향을 잡아가면 아기에게도 긍정적인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