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피임약 복용 중 배란 억제 효과 있나요?
경구피임약을 생리 5일차부터 시작해 2주째 복용 중입니다 원래 주기가 정확한 편이라 원래 주기대로면 지금 배란기인 상황인데 오늘 초음파 소견으로 난포가 전혀 자라진 않았고 배란 난포가 보이지 않는다고 하셨으면 피임 효과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다고 봐도 될까요?
경구피임약을 생리 5일차부터 시작해 2주째 복용 중입니다 원래 주기가 정확한 편이라 원래 주기대로면 지금 배란기인 상황인데 오늘 초음파 소견으로 난포가 전혀 자라진 않았고 배란 난포가 보이지 않는다고 하셨으면 피임 효과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다고 봐도 될까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경구피임약 복용 중 해당 내용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요.
경구피임약을 생리 5일차부터 복용해 2주째 드시고 계시며, 초음파 검사에서 난포가 자라지 않고 배란 난포도 보이지 않는다는 소견을 받으셨다면, 현재 피임 효과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어요.
경구피임약의 주요 작용 원리는 여성의 몸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호르몬을 조절하여 배란을 억제하는 데 있어요.
경구피임약에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이라는 두 가지 인공 호르몬이 들어 있는데, 이 호르몬들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난포자극호르몬(FSH)과 황체형성호르몬(LH)의 분비를 억제해요. 이로 인해 난소에서 난포가 성장하지 못하게 되고, 배란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거예요.
초음파 검사에서 난포가 자라지 않고 배란 난포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실제로 피임약의 호르몬 효과가 잘 작동해서 난포의 성장과 배란이 억제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해요.
즉, 난소가 휴지 상태에 들어간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임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상태라고 볼 수 있어요.
경구피임약은 복용을 시작한 시점에 따라 피임 효과가 바로 나타날 수도 있고, 7일 정도의 추가 피임이 필요할 수도 있어요. 생리 시작 5일 이내에 복용을 시작했다면, 첫 알약부터 바로 피임 효과가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어요.
질문자님처럼 생리 5일차에 시작했다면, 대부분의 경우 바로 피임 효과가 나타나지만, 혹시 모를 예외를 대비해 처음 7일간은 추가 피임을 권장하기도 해요.
현재 2주째 꾸준히 복용 중이시라면, 이미 약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고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어요. 초음파상 난포가 성장하지 않는 것도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인 근거가 된다고 볼 수 있어요.
다만, 피임약 복용을 하루라도 빠뜨리거나, 구토·설사 등으로 약의 흡수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에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니, 항상 같은 시간에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결론적으로, 현재 상황에서는 피임약의 효과가 정상적으로 나타나고 있고, 임신 가능성은 매우 낮은 상태라고 볼 수 있어요.
앞으로도 복용을 빠뜨리지 않고 꾸준히 이어가신다면 피임 효과는 계속 유지될 거예요.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올바른 경구피임약 복용법, 종류, 부작용, 불임, 부정출혈, 자주 묻는 질문까지!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월경이 6/12 에 끝났고 6/19 부터 경구피임약 복용을 시작했어요. 예상 배란일은 6/28이었는데, 배란일 9-10일 전부터 피임약 복용을 시작했으면 배란 억제 효과가 있을까요?
생리 7일 전부터 생리 미루기 목적으로 경구피임약을 복용했는데, 배란 억제 효과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생리 7일 전이면 배란이 이미 진행되었을 시기라고 생각해서요. 그리고 생리 미루기 목적으로 경구피임약 복용시 어떻게 호르몬에 작용하는지 궁금합니다.
경구피임약을 먹으면 배란이 억제돼서 임신이 불가능하다고 하셨는데 배란이 억제되는 거면 휴약기간 7일중에 생리를 하는 건 무슨 원리인가요? 경구피임약 먹는 중에 배란은 언제 되고 배란기와 가임기는 언제인지 궁금합니다.